[이슈분석]종편 수신료 요구에 `이중압박` 속앓는 PP

방송시장의 뇌관 종편 수수료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시장은 지금보다 훨씬 더 영세해질 것이다.”

“유료방송사업자가 주는 수신료의 파이는 정해져 있다. 중소 PP는 의무재송신되는 종합편성채널에 밀려 좋은 채널 자리도 뺏기고 수익은 줄고 이중으로 압박받게 된다.”

Photo Image

언론학계는 종합편성채널의 `수신료` 요구에 중소PP가 겪을 어려움에 우려를 표했다. 생존의 기로에 서 있는 개별PP발전연합회는 지난달 성명서를 내는 등 반발했다. 이들은 정부와 종합편성채널, 플랫폼사업자에 `프로그램사용료 분배는 안 된다`는 뜻을 전했다. 유료방송사업자가 종편에 거액의 수신료를 제공하면 일반 PP의 수신료가 줄어들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PP의 수익원은 `광고 수입`과 플랫폼사업자로부터 받는 `프로그램사용료`로 구성된다. 시청률이 잘 나오는 대형 PP는 `프로그램사용료`보다 `광고수입`이 주된 수입원이다. 하지만 다양한 프로그램 장르에 기초한 중소 개별 PP는 성향이 확실한 소수의 특정 마니아층을 타깃으로 한다. 타깃이 좁다 보니 `광고수입`보다 플랫폼사업자에게 받는 `프로그램사용료`가 주요 수입원이다. 종합편성채널에 사용료가 배분되면 중소 개별PP에 돌아가는 몫이 줄어드는 것이다.

또 종합편성채널은 법이 규정한 의무편성채널이다. 유료방송사업자는 의무 편성된 채널을 거부하거나 선택할 수 없다. 그러나 매년 일반PP는 유료방송사업자와 계약하고 선택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개별PP발전연합회는 정부에 유료방송사업자가 종편에 `프로그램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도록 법과 제도를 정비하라고 요구했다. 종편도 의무편성채널로 누리는 특혜로 질 높은 콘텐츠를 만들어 `광고수입`을 높이라고 주문했다. 플랫폼사업자에게는 PP와 상생 원칙에 따라 `프로그램사용료`의 적정 배분으로 중소 개별PP들의 균형 발전에 기여하라고 당부했다.

김경환 상지대 교수는 “종편은 미디어 쪽에서 대기업이니까 의무재전송에 수신료까지 주는 것은 `대기업 일감 몰아주기`가 된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중소기업 살리기` 정책기조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