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디지털 교육 경쟁력을 재차 언급하며 미국 교육 현장의 변화를 지시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6일(현지시각) `중산층 일자리 및 기회 투어`의 하나로 노스캐롤라이나주 무어스빌의 무어스빌중학교를 방문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3/06/07/437888_20130607082927_936_0001.jpg)
전국 산업 현장과 학교를 돌면서 유세 형식으로 정책을 실현하는 자리다. 기업의 일자리를 만들고 교육 기회 확대나 사회간접자본시설 투자 확충, 시간당 최저임금 인상 등을 의회가 수용하라고 밀어붙이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연방통신위원회(FCC) 등 관련 행정 부처에 5년 이내에 99%의 학생이 교실과 도서관에서 고속 인터넷을 쓰도록 만들라고 지시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 나라에서는 커피를 마시면서도 무료 와이파이를 쓰는데 학교에서는 왜 안 되느냐”며 “다른 모든 나라가 교육 수준에서 미국을 따라잡으려 하는 이 시점에 우리도 젊은 학생들이 모든 필요한 도구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실제 고속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미국 학생은 약 20%에 불과하지만 한국 학생은 100% 가능하다”며 “미국은 20%, 한국은 100%”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날 오바마 대통령을 수행한 안 던컨 교육장관도 현지로 가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기자들에게 오바마 대통령의 계획을 브리핑하면서 한국 교육을 예로 들었다. 던컨 장관은 “학교 교실의 디지털 혁명은 향후 몇 년 간 엄청난 일이 될 것”이라며 “한국은 미국보다 앞서 있다”고 설명했다.
장동준기자 djj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