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투자가 아니라 성공한 창업기업가가 자신 경험을 전해주고 장기적으로 스타트업 성장을 기다려주는 투자 즉, 페이션트 캐피털(Patient Capital)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입니다. 카카오 청년창업펀드는 최초의 민관 공동펀드로 의미가 매우 큽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3/04/25/421028_20130425160029_706_0001.jpg)
한정화 중소기업청장은 25일 카카오 펀드 조성을 위한 출자 약정식에 참석해 “융자·보증 중심의 창업 금융에서 투자 중심으로 옮겨와야 한다”며 “1세대 벤처캐피털이 투자와 멘토링을 함께할 수 있는 선순환 벤처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카카오 펀드가 한국식 벤처 창업 생태계의 새 장을 열었다고 말했다. 한 청장은 “단순 투자뿐 아니라 인수합병(M&A)과 코스닥, 코넥스(중소기업전용 자본시장)를 활성화하기 위해 금융위원회와 긴밀히 협조할 것”이라며 “이번에는 모바일이지만 업종을 가리지 않고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한 전문 엔젤투자자를 육성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한 청장은 “창업에 성공해 성공적으로 투자금을 회수한 기업인을 모아 전문 모임을 만들겠다”며 “이들을 키워야 벤처 생태계가 제대로 조성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허정윤기자 jyhu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