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23일 대전 IBS(기초과학연구원)을 방문한 뒤 가진 인터뷰에서 “기관장 임기 가지고 출연연구기관을 흔들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304/419993_20130423183305_956_0001.jpg)
최 장관은 최근 출연연 기관장 블랙리스트 논란과 관련해 “전문가 집단에게는 전문가 대접이 맞다”며 “그런 일 가지고(출연연 임기를 보장하지 않는 식으로) 안 흔든다. (기관장은 스스로) 책임지고 일하면 된다”고 말했다.
미래창조 구현을 위한 기술사업화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최 장관은 연구소 기업 활성화와 관련해 “변리사 등 여러 분야 인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구소를 그룹핑하고 기술이전조직(TLO)를 모아 기술사업화를 강화하는 방안도 있고 기술지주회사 설립이나 민간이 참여하는 방안도 있어 이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최 장관은 KAIST에서 가진 연구소기업 대표와 간담회에서 “대덕연구단지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공공 연구 성과 사업화”라며 “이를 해결하려 앞으로 연구소기업을 60개 이상 설립,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장관은 “대덕특구에서 많은 연구소기업이 탄생했지만 여러 제약 때문에 현재는 33개가 운영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앞으로 연구소기업을 성공적으로 키우고자 정부가 잘 지원하고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치봉 비앤에이치 사장은 “창업 초기보다는 나아졌지만 연구소기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자꾸 문제가 생긴다”며 “회사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지분을 정리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어떻게 출구 전략을 펴야 할지 전반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김 사장은 또 “연구소마다 기술사업화담당부서가 있지만 대다수 인센티브가 없어 연구소기업을 만들어놓고도 사후에 도와주는 것이 덜하다. 솔직히 연구소나 국가기관은 융통성이 없고 일하기 정말 힘들다”며 “정부가 나서서 이런 부분을 활성화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성진 아이카이스트 사장은 “회사 창업 단계에서 부정적으로 생각한 분이 많다”며 “젊은이들은 비가 내리더라도 우산을 미리 준비할 수 없다. 그만큼 사업하는데 위험성이 크다”며 “정부가 우산 역할을 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구 연구개발특구재단 이사장은 간담회에 앞서 연구소기업 지원 현황을 설명한 후 △연구소기업 설립기관의 최소 지분율 완화 △연구기관 기술 출자시 연구소기업에 전용 실시권 부여 △휴겸직 규정 개선 등 20여가지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