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에서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되는 업무는 예정대로 진행한다. 이관 업무 분야는 스마트 콘텐츠, 콘텐츠 유통, 디지털콘텐츠 품질인증, 컴퓨터 그래픽(CG)과 3D 방송영상 기술, 디지털콘텐츠 기술개발, 방송분야 3D 인력양성 등이다.
인력 양성과 기술 개발 등이 문화부에 남을 것이란 관측이 있었지만 대부분 디지털 업무가 미래부로 이관된다. 산하기관인 콘텐츠진흥원 업무에 속한 글로벌 플랫폼 개발 업무와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앱) 개발 기업 진흥을 위한 스마트콘텐츠 허브센터도 미래부 업무로 정리됐다. 이에 따른 예산 800억원도 미래부로 이관된다. 문화부 콘텐츠 R&D예산 대부분이 미래부로 넘어가는 것이다. 인력은 10여명 안팎에 불과하다.
게임을 비롯해 영화, 애니메이션, 만화, 캐릭터 등 장르별 콘텐츠 진흥은 문화부가 그대로 맡는다. 문화부에 남게 되는 문화기술PD실은 문화산업정책과에, 대중문화팀은 과로 승격된다. 문화정책과 예술정책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문화예술국은 분리했다. 문화부 관계자는 “콘텐츠는 장르별로 대부분 IT와 융합 영역이 많은 만큼 미래부와 긴밀히 협력해 새 시장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존 국토해양부의 해운·항만 분야 1실 5국 21과 조직은 해양수산부로 이관한다. 국토교통부에는 교통·물류정책 기능의 융합·연계를 위해 `교통물류실`을 신설했다. 이관되는 기능은 물류항만실 중 물류정책 기능을 제외한 해운정책, 해사안전정책, 항만정책, 항만운영 업무다. 연안계획과 해양정책을 담당하는 해양정책국과 해양환경정책관도 해수부에 자리를 마련한다. 정보화통계담당관 내 정보화 담당 인력 중 일부가 이동해 해수부의 정보화를 담당한다.
별도 조직으로는 국립해양박물관운영지원단, 국립해양생물자원건립추진기획단 등이 해수부에 새 둥지를 튼다. 소속을 해수부로 바꾸는 기관으로는 부산·인천·여수 등 11개 지방해양항만청과 국립해양조사원, 중앙해양안전심판원 등이 있다. 수산·어업 등 농림부 1실 3관 10과도 해수부로 이관된다. 해수부 전체 조직은 3실 12국 41과로 구성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해양과 관련된 기능이라도 물류와 교통 정책 분야는 국토교통부에 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