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 사회 곳곳에서 `상생`이라는 주제 아래 동반성장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동반성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관계 뿐 아니라 골목상권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어느덧 우리 경제의 화두로 자리 잡았다. 국토 균형발전의 상징인 세종자치시도 정부부처들의 이전과 함께 출범의 닻을 올렸다. 모두 양극화의 간극을 줄이겠다는 움직임이다.
가스에너지 업계에서도 동반성장은 해묵었지만 현재 진행형인 화두다. 대표적 가스에너지인 액화석유가스(LPG)와 액화천연가스(LNG)간 균형발전에 관한 정책이 새 정부에서 어떻게 구체화될 것인지에 대해 LPG업계의 눈과 귀가 쏠려있다. 지식경제부가 에너지경제연구원을 통해 수행해 지난 2011년 말 발표한 연구용역은 1차 에너지원 중 가스에너지의 최적 포트폴리오가 LPG 2: LNG 8인 것으로 결론 내렸다.
LPG는 대표적인 청정에너지이자 서민들과 애환을 같이해온 서민 에너지이며, 위기 시 대응력이 뛰어난 분산형 에너지다. 그러나 정부의 LNG 위주 공급정책에 밀려 점점 설 자리도 잃고 있다. 그 과정에서 LPG를 많이 쓰는 서민들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는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 경제성이 없는 지역까지 도시가스 공급이 확대되면서 경쟁 연료인 LPG산업 기반의 붕괴도 우려된다.
우리나라와 에너지 소비구조가 비슷한 일본은 세계 최고의 LNG 소비국이지만 지진 등과 같이 비상 상황에 대비해 LNG를 대체할 수 있는 LPG 수요 역시 일정 비율로 유지한다. 이를 통해 이재민이 삶터를 떠나지 않고도 취사와 난방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가스체 에너지는 유해물질 배출이 적고 가정에서 취사·난방용 연료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그러나 메탄이 주성분인 LNG는 부탄과 프로판으로 구성된 LPG보다 액화 온도가 훨씬 낮아 용기의 소형화가 쉽지 않다. 이런 특징 때문에 LNG는 중앙집중식 배관을 통해 공급되므로 재해를 당하면 복구가 어렵다. 반면 LPG는 액화가 쉬워 이동과 보관이 편리하므로 `분산형 에너지`로 불린다.
LPG가 미래 에너지시장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국가 주요 에너지원으로 역할을 계속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가 에너지정책과 관련 법 안에서 LPG의 위상 확보가 우선 필요하다.
현재 LPG는 성상이나 용도 등에 있어 LNG와 유사한 가스체 연료임에도 불구하고 석유제품으로 분류되어 법 적용을 받고 있다. LPG는 원유 정제과정에서 연산품으로도 생산돼 석유제품이라는 인식이 형성돼 있으나 실은 생산량의 60% 이상이 가스전에서 생산된다. LPG를 독립된 가스체 에너지원으로 규정해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수립 시 LPG 관련 내용을 포함시키고, 관련법령을 일원화해 LPG산업에 대한 통합관리 체계를 갖추는 것이 정책 효율성 제고에도 바람직하다.
LPG 공급의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적정 수준의 LPG산업 기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마련도 시급하다. LPG산업의 사양화는 주요 수요자인 서민층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정 에너지원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심화될 경우 에너지안보 측면에서도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나라의 에너지정책은 경제성·환경성·에너지 안보라는 3개의 기준을 통해 에너지 자원 간 최적의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상식이다. 세계 각국은 지금 에너지 자원의 고갈과 기후변화 등을 헤쳐 나갈 에너지 경쟁시대 대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우리나라도 중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시각을 갖고 가스에너지 자원 간의 균형발전을 도모할 때다.
홍준석 대한LPG협회장 jshong@klpg.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