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X레이 대체할 고출력 테라헤르츠파 발생기술 개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고출력 테라헤르츠파 발생 원리도

국내 연구진이 인체에 무해한 고출력 테라헤르츠파를 만들 수 있는 원천 기술을 확보했다. 테라헤르츠파는 X레이를 대체할 기술로 주목받아 왔지만, 출력 향상이 과학기술계의 난제였다.

Photo Image
원뿔형 박막 구조에 의한 고출력 테라헤르츠파 발생 원리도.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정연호), 양자빔기반방사선연구센터(센터장 니콜라이 비노쿠로프)가 소형 가속기로도 고출력 테라헤르츠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기술 개발은 교과부 세계수준 연구센터(WCI) 지원을 받았다. 관련 논문은 국제 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2월 8일자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테라헤르츠파 발생 장치 크기를 기존대비 100분의 1로 줄였다. 대신 출력은 최소 10배에서 최대 100배까지 향상시켰다.

이 테라헤르츠파는 전자빔이 다른 물질의 경계면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전이 방사선을 이용한다. 지금까지 전도성 금속 박막 한 장을 경계면으로 사용해 투입한 전자빔 에너지에 비해 산출되는 테라헤르츠파 출력이 10만분의 1~1만분의 1로 낮아 출력 증가를 위해서는 대형 가속기를 구축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현재 사용되는 X-레이 또는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전신 검색기는 투과된 이미지를 사람 눈으로 판독하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가 있는 반면, 고출력 테라헤르츠파는 고유 진동수를 측정한 숫자 형태로 물질의 종류를 식별하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가 없다. 테라헤르츠파는 또 검색 대상 물체에서 흡수·산란·반사된 파장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물질 종류와 성분까지도 판별할 수 있다.

연구진은 수백장의 원판형 금속 박막을 전자빔 진행 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뿔형으로 배치, 전이 방사선이 박막 가장자리에서 원뿔형으로 모여 방사되게 함으로써 테라헤르츠파 발생 효율을 증가시켰다.

정연호 원장은 “올해 안에 이 기술을 적용한 실험실 규모의 테라헤르츠파 발생 장치를 구축해 사생활 침해 가능성이 없는 신개념 전신 검색기 개발 가능성을 실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