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학과 연구기관, 기업부설연구소의 안전 관리가 크게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2년 동안 안전 점검을 실시한 연구실 비율이 52∼81%에 그쳤으며 안전교육훈련 실시비율은 50~70%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학, 연구기관 및 기업부설연구소 등 588개 기관의 안전관리 실태조사 분석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조사는 대학 331개, 연구기관 182개, 기업연구소 75개 기관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 결과 연구활동 종사자는 대학이 96만7583명, 연구기관은 2만8786명이었으며 대학의 상시 연구활동 종사자는 14만2681명으로 집계됐다.
대학은 학사 과정 대상자가 전체 85.1%, 석·박사 과정은 9.7%를 차지했다. 연구기관은 정규직 연구원이 51.7%, 비정규직 연구원이 36%, 학생 연구원이 10.4%였다. 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연구실은 총 5만3986개다. 화학 및 화공 분야가 1만397개로 19.2%, 생명 및 미생물분야가 1만289개로 19.0%, 전기전자분야가 8890개로 16.5%를 차지했다.
연구실 안전관리위원회 구성은 일반대학, 전문 및 기능대학, 연구기관 및 기업연구소에서 각각 86%(154개), 72%(113개), 60%(110개) 및 45%(34개)였다. 최근 2년 내 연구실 안전관리위원회를 개최한 실적은 47%(85개), 35%(54개), 38%(69개) 및 31%(23개)에 불과했다.
최근 2년 동안에 연구실 안전점검을 실시한 기관 비율은 52∼81%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결과 2010년도 전문·기능대학은 5등급 연구실이 2%가량 존재했으나 이번 조사결과에는 5등급 연구실은 없었다.
대학의 연구활동종사자 1인당 평균 연구실 안전관리비는 1만∼2만3000원으로 분석됐다. 모든 기관이 보험료(32~48%)에 가장 많이 지출했다. 연구기관과 기업연구소는 해당 기관의 모든 연구활동 종사자가 보험에 가입했고 일반대학과 전문·기능대학은 각각 96%와 86%가 보험에 가입했다.
연구실 안전교육훈련 실시비율은 50~70%로 나타났다. 2011년 기준 상시 연구활동 종사자 1000명당 연구실 사고발생 건수는 1000~3000명 미만의 전문·기능대학은 4.07명, 일반대학은 2.66명, 연구기관(50~300명) 0.25명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연구실 안전관리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연구실 안전환경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연구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실시현황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