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청와대 인선 완료]미래부 1·2 차관 중요성 더 커졌다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와 청와대 미래전략 수석이 결정되면서 미래창조과학부 첫 번째 차관 등 후속 인사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장관 내정자와 청와대 수석이 나란히 이공계 출신의 테크노크라트 진용을 구성하면서 이들과 호흡을 맞출 차관 인사가 더욱 중요해졌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종훈 장관 내정자와 최순홍 수석이 모두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활동한 전문가라는 점에서 국내 사정과 관료 문화에 어두운 단점을 보완할 인물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쏟아진다.

장관과 수석이 ICT 전문가여서 과학계가 홀대론을 우려하는 만큼 과학 분야를 맡을 1차관에는 중량감있는 과학 전문가를 발탁해야 한다는 여론도 커지고 있다.

과거 정보통신부 차관을 지낸 한 인사는 “글로벌 감각을 가진 장관과 수석이 발탁되면서 그동안 보지 못한 큰 그림의 정책이 기대되지만 국내 실정과 관료문화를 잘 모르는 게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면서 “차관은 장관과 수석의 큰 그림이 미래부 조직 내부로 잘 전파될 수 있도록 조율할 수 있는 전문 관료출신 발탁이 최선의 카드가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미래부가 6개 부처 출신 공무원이 이합집산하는 `다국적군`이라는 점에서 초기 조직 문화를 안착시키기에도 정통 관료 출신이 적합하다는 평가다. 노무현 정부시절 정통부에 삼성전자 출신 진대제 장관이 발탁됐을 때 정통 관료 출신 차관들이 안정적으로 보좌했던 것이 사례로 꼽힌다.

먼저 1차관에는 장관, 수석 인선에서 빠진 과학기술계 전문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장관 내정자도 ICT 경험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기 때문에 국내 과학기술 현안과 정책에 대한 통찰을 갖춘 인물이 적합하다. 특히 미래창조과학부는 국회나 다른 부처, 정부출연연구소 등과 협력·조율해야 하는 사안이 많기 때문에 이 점은 더 중요하다.

현재 과학기술계와 공직사회 내부에서는 과학 분야 관료 출신이 가장 무난하다고 판단하는 있지만 굳이 관료만을 고집하지는 않는 상황이다. 관료 출신이 아니더라도 대내외 관계를 가장 잘 이끌면서 장관을 보필해 과학기술계의 현안과 미래 청사진을 그려갈 수 있으면 된다는 분위다. 또 단기 정책 위주로 운영될 2차관(ICT) 쪽과 원활한 내부 조율과 함께 중장기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과학기술 정책의 특성상 뚝심 있는 업무 추진력도 주요 덕목으로 꼽았다.

ICT를 담당할 2차관으로는 방통위, 행안부 등에서 ICT 정통관료를 지낸 실장급 인사가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2차관은 우선 여러 부처 출신의 공무원의 화학적 결합을 이끌어내면서도 장관과 수석의 ICT 비전이 빠르게 미래부 조직 내에 실행될 수 있는 가교 역할이 주어질 전망이다.

반면에 과학기술을 이끌 1차관은 중량감 있는 인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장관과 수석 모두 ICT 출신이어서 자칫 장기적인 비전과 투자가 필요한 과기 정책이 묻힐 수 있다는 과기계의 우려를 불식해야 하기 때문이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