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지식경제부가 처음 실시한 특성화고 나노융합 기술인력양성 사업이 좋은 취업률을 보이며 연착륙에 성공했다. 전국 6개 도시에서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해 상반기에 174명이 교육과정을 수료했고 92%가 관련 기업에 취업했다고 한다.
이 사업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교육청이 손잡고 연간 35억6000만원의 예산과 나노인프라 기관의 첨단장비와 전문 인력을 활용해 특성화고 학생을 교육하고 취업까지 연계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국 99개 특성화고와 107개 기업이 참여한 이 사업은 기업수요를 반영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일자리 확보를 위해 산·학·연이 긴밀하게 협력한 것이 다른 교육 프로그램과 차별화 요소다. 지난해 상반기 취업률은 92%로 특성화고 평균 취업률인 48.5%보다 2배 가까이 높다. 이 달로 끝나는 하반기 교육에는 141명이 지원해 50%가 선 취업하는 성과를 올렸다.
지경부는 여기서 머무르지 않고 나노융합 인력 양성을 활성화하기 위해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산업체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인재를 양성함은 물론이고 일자리 창출에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올해 배정된 예산은 23억60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3.7% 줄어들었다. 지경부는 예산이 줄어든 만큼 올해 교육생도 지난해 315명보다 65명 적은 250명으로 낮춰 잡았다. 교육에 내실을 기하고 사업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고육지책인 셈이다.
국민의 세금으로 충당하는 정부 예산은 허투루 사용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사업 시행 첫 해에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사업임에도 예산이 삭감된 것은 쉽게 수긍하기 힘든 대목이다. 더욱이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강조하는 정부가 관련 예산을 낮춘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것 같아 씁쓸하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시론]AI 패권의 새로운 질서
-
2
[ET단상] 양자와 AI 시대, K보안 도약을 위한 제언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ET톡] AI와 2차 베이비부머의 미래
-
5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4〉AI '앱 경제'를 '에이전트 경제로' 바꾸다
-
6
[황보현우의 AI시대] 〈25〉고독한 사람들과 감성 AI
-
7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8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9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10
[GEF 스타트업 이야기] 〈57〉더 나쁜 사람 찾기, 손가락질하기 바쁜 세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