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와 함께 새 정부 쌍두마차격인 미래창조과학부가 과학기술 정책과 국가 연구개발(R&D)뿐 아니라 정보통신기술(ICT)까지 총괄하기로 하면서 부처 규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아직 구체적 업무 이관 계획이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추정대로라면 1000명을 훌쩍 넘는 공무원들이 미래창조과학부에 집결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조직 규모는 현재 기획재정부(본부 기준)보다 큰 것으로, 사실상 미래창조과학부가 `제1경제부처`가 되는 셈이다.
20일 행정안전부 통계와 각 부처 자체 집계에 따르면 현재 교육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 부문 인력은 휴직 등을 포함해 모두 320명 정도다.
이들은 대부분 5년전 MB정부 출범과 함께 사라진 과학기술부에 뿌리를 둔 공무원들로 대부분 미래창조과학부에서 과학기술 정책이나 R&D 업무를 맡게 될 전망이다.
폐지가 결정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사무처 인력은 현재 130명으로, 2011년 초 출범 당시 교과부 인원(52명)을 주축으로 재정부, 지식경제부 공무원들이 참여했다. 이들도 국과위가 상설조직으로 남지 않는 한 대부분 미래창조과학부로 흡수될 가능성이 크다.
역시 2011년 10월 기존 교과부 원자력안전국 인력을 중심으로 독립기구가 된 원자력안전위원회도 미래창조과학부 내부 조직으로 편입된다. 현재 원자력안전위원회 인력은 90여명 정도다.
이처럼 현재 교과부 내 과학기술 부문, 국과위, 원자력안전위 인력만 다시 합쳐져도 조직 규모는 540명에 달한다.
지식경제부에서도 적지 않은 인력이 미래창조과학부로 이동할 전망이다. 현재 지식경제부 안에서 응용·개발 부문 R&D 업무나 기술이전·지식재산권, 산업기술인력 양성과 관련된 조직은 성장동력실 산하 신산업정책관(국)·주력산업정책관(국), 산업경제실 산하 산업기술정책관(국) 등이 맡고 있다.
이들 3개 국의 현재 인원은 130여명(각 국별 인원 40~50명)으로, 이 가운데 순수하게 정책에만 관여하는 인력을 빼더라도 연구개발특구기획단까지 합쳐 100명 안팎은 미래창조과학부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다.
더구나 지식경제부 내 ICT 관련 조직인 성장동력실 정보통신산업정책관(국) 소속 50여명도 미래창조과학부행이 유력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현재 본부 인력이 500명 정도인데, 방송 업무를 빼고 ICT와 관련된 조직의 규모는 통신정책국(45명), 이용자보호국(75명), 네트워크정책국(70명), 전파기획국(43명) 등 모두 233명이다. 이 가운데 순수 ICT 업무로 보기 어려운 이용자보호국의 방송시장과(9명)·시청자권익증진과(18명) 등 50여명을 제외한다해도 180명 정도는 미래창조과학부 편입이 예상된다.
여기에 현재 행정안전부의 정보화전략실 소속 100여명 가운데 상당수도 ICT 인력으로서 미래창조과학부로 이동이 점쳐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교과부 과학 부문 및 국과위·원자력안전위, 지경부의 R&D 및 ICT, 방통위의 ICT, 행안부의 ICT 전원이 미래창조과학부에 모일 경우 조직 규모는 970여명에 이를 전망이다.
이외에도 기획재정부의 R&D 예산 관련 인력, 문화부의 디지털콘텐츠 인력 등이 추가될 가능성이 많아 1000여명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본부 기준 1000여명은 현 부처 가운데 국토해양부(1226명), 행정안전부(1187명)에 이어 3위이며, 제1 경제부처인 기획재정부(932명)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여기에 더해 인원이 3만1000여명에 달하는 우정산업본부(현 지경부 산하)와 기상청(현 환경부 산하) 등까지 미래창조과학부로 편입될 경우, 외청 등 산하 조직을 포함한 부처 규모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가 단연 1위로 등극할 전망이다.
그러나 이 같은 거대부처 탄생을 앞두고 일각에서는 주도권 다툼과 단기·장기 성과 과제간 갈등 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과학기술부 출신 교과부 관계자는 “처음에는 과학기술 전담부처가 부활한다고 기뻐했으나, ICT 등까지 더해져 조직 규모가 너무 커지는 것이 아닌지 걱정”이라며 “장기간 시간을 두고 투자해야 하는 과학기술이 단기 성과에 집중할 수 밖에 없는 ICT와 함께 묶이면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소외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경제 많이 본 뉴스
-
1
법인 가상자산 투자 풀린다…비영리법인부터 단계적 허용
-
2
토스, 커머스 인재 대거 흡수…쇼핑·페이 확장
-
3
영풍, 지난해 '역대 최악 실적'…순손실 2633억
-
4
[데스크라인]법인 가상자산 투자, 혁신 기회가 되려면
-
5
골드바 품귀현상까지 부른 금값 상승, 金 ETF·실버바 강세로 번졌다
-
6
보조배터리·전자담배 기내 선반 보관 금지…초과 반입시 별도 승인 거쳐야
-
7
충남연구원, 2025년도 정책연구 본격 추진…전략과제 35건 최종 선정
-
8
한화손보, 글로벌 부품·반도체사와 연이어 사이버보험 '단독계약' 돌풍
-
9
유니온커뮤니티 日 NEC에 ODM 공급… 일본 수출 핵심 채널 확보
-
10
[ET라씨로] 코리아써키트, 영업익 흑자전환 기대감에 주가 22%↑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