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자원개발사업을 두고 흔히 대표적인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사업이라고 한다. 로또 맞을 확률보다는 높겠지만 그만큼 많은 투자가 요구되면서도 성공하기 쉽지 않고 한 번이라도 성공하면 대박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붙여진 말이다.
이명박 정부는 여느 정부 못지않게 자원외교에 정성을 쏟았고 나름 의미 있는 성과도 거뒀다. 그럼에도 유독 이번 정부의 해외자원개발사업에 비판이 쏟아졌다. 일부 과대 포장된 내용도 없지 않았지만 해외 오지에서 구슬땀 흘리는 자원개발 전사들에겐 안타까운 심정이다.
유전이나 가스전 등은 시추만 하면 원유나 가스가 바로 콸콸 쏟아지지 않는다. 몇 년에 걸쳐 실패를 거듭한 후 한 번 성공할까 말까하는 지난한 작업이다. 애초에 자원이 매장돼 있는 곳을 제대로 탐지해서 시추하면 되지 않느냐고 하지만 그것은 현장을 모르고 하는 소리다. 설령 성공확률이 높은 유전이나 가스전이 있다 하더라도 그냥 되는 법이 없다. 요즘엔 단순히 현지 자원개발만 생각해서는 성사되는 일이 없다. 현지 인프라 건설을 비롯해 유통 마케팅, 실수요자 구매 보장 등 여러 가지를 생각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더욱이 최근에는 선진국과 신흥개도국 할 것 없이 해외자원개발에 나서면서 남미·아프리카·중앙아시아는 전쟁터를 방불케 한다.
세계는 자원 확보 전쟁이 한창인데 올해 국내 해외자원개발 예산은 지난해 보다 1000억원 가량 줄었다. 그것도 지식경제부가 지난해 보다 2258억원을 깎아서 신청한 것을 국회가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1319억원을 더 줄였다. 당장 새해 에너지 공기업 등이 추진할 해외자원개발 사업이 타격을 입게 됐다. 더욱 한심한 것은 삭감된 해외자원개발 등 연구개발(R&D) 예산의 일부가 영향력 있는 국회의원의 지역구 사업으로 배정됐다고 한다.
해외자원개발은 단순히 자원을 확보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국가 에너지안보 차원에서 장기적이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함을 잊어서는 안 된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시론]AI 패권의 새로운 질서
-
2
[ET단상] 양자와 AI 시대, K보안 도약을 위한 제언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ET톡] AI와 2차 베이비부머의 미래
-
5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4〉AI '앱 경제'를 '에이전트 경제로' 바꾸다
-
6
[황보현우의 AI시대] 〈25〉고독한 사람들과 감성 AI
-
7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8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9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10
[GEF 스타트업 이야기] 〈57〉더 나쁜 사람 찾기, 손가락질하기 바쁜 세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