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중견기업 육성정책의 연속성

Photo Image

산업 현장이 두 손 들어 환영했다. 정부에서 초점을 제대로 잡은 몇 안 되는 정책이란다. 큰 틀도 만들어졌다. 속도가 나지 않는 것에 속상해 하며 마음 졸이는 최고경영자(CEO)도 많다. 중견기업 육성 정책 이야기다.

그래서일까. 중견기업 정책은 대선 캠프 모두가 주요 공약으로 채택할 만큼 정치권 반응도 좋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는 “중소기업 따로 중견기업 따로 지원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집권 후 중견기업을 새로운 범주로 삼는 육성정책을 펼 것임을 분명히 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도 중견기업을 임기 안에 4000개 육성하겠다고 밝혔고,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는 중견기업 육성법을 제정, 중견기업이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5년간 세제를 지원하겠다고 공약했다.

중견기업 육성 정책이 큰 반향을 일으키는 것은 철저하게 산업 정책 수요자인 기업 상황에 기반을 두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기업하는 이들의 목표는 안정적으로 회사를 키워나가는 것이다. 국가 경제에 영향력이 큰 첨단산업 분야 기업일수록 이 요구가 더 크다. 오죽하면 중견기업 규모가 적합한 성장 기업들이 중소기업 혜택을 유지하기 위해 `중소기업 그룹`으로 회사를 쪼개는 비정상적인 방법을 택할까.

중견기업은 대기업 후보군이다. 중소기업도 중견기업 전 단계 후보군이다. 중견기업에 맞는 성장 터전이 마련되면 자연스럽게 우리 경제의 미래를 짊어질 기업들이 단계별로 체급에 맞게 포진해 더 큰 체급에 도전하게 된다.

정부가 그 틀을 만들었다. 이에 대선 주자들이 모두 정책 연속성을 약속했다. 중견기업 육성은 세계 선진국의 공통 과제인 일자리 창출과 직결된다. 경제 성장을 동반하는 고용 창출로, 생계형 자영업 지원과는 차원이 다르다. 대선 후보들이 중견기업 정책에 주목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소상공인 지원 정책과는 별개로 미래 성장 기반을 다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을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중소기업-중견기업-글로벌기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 정착이 궁극적 목표인 만큼 산업경제 생태계 측면에서 큰 그림을 그려야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정책 발굴이 가능하다. 중견기업 정책의 필요성은 많은 중소기업들이 끊임없이 제기해온 것이다. 그만큼 현장에서 절실했고 오랜 기간 숙성된 절심함이 반영된 정책인 셈이다.

`중소기업은 지원, 졸업하면 규제`라는 이분법이 아니라 중간단계 정책을 원하는 기업인이 경제 성장과 더불어 급증해왔음에도 제도가 이를 따라가지 못했다. 지금 분위기라면 대선에 나선 세 후보 캠프 가운데 어디서 대권을 잡더라도 중견기업 육성 정책은 확대, 발전될 것이 분명하다. 현 정부에서 기획한 정책이 다음 정부에서 화려하게 꽃피우는 모습을 보고 싶다.


심규호 전자산업부장 khs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