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도권에 설치된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사용카드가 호환되지 않는 등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기차는 일반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운행 거리가 턱없이 짧기 때문에 잦은 충전이 필요하지만 충전소 접근이 어렵고 충전소를 찾는다 해도 이용할 수 없는 곳이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16일 업계 따르면 서울 수도권과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전국에 1000여기의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돼 있지만 지식경제부, 환경부, 서울시 등 설치 주체별로 사용자카드의 호환이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차량 내비게이션에 검색된 주소의 충전소를 찾아가면 주로 공공기관 내 주차장이나 건물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출입이 어렵고 근무시간 이외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환경부는 충전기 보급 사업에 따라 내비게이션에 충전소 위치를 등록하게 했지만 위치 정보가 공개되지 않은 곳도 적지 않다.
실제 본지가 서울 수도권 내 전기차 충전소 5곳을 방문한 결과, 지경부 카셰어링 차량은 지정된 충전소 10곳 이외에 환경부 및 서울시가 설치한 수십 곳의 충전소 이용은 불가능했다. 지금의 전기차 운행거리는 100㎞ 안팎인 점을 고려해 잦은 충전이 요구되지만 충전소가 있어도 충전이 어려워 이대로 상용화할 경우 소비자들의 불편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 마포구청 내 충전소는 안내 표지판이 없어 쉽게 찾을 수가 없었고 업무시간 이외 주말에는 사용이 불가능했다. 난지도 하수처리장 충전소는 외부인 출입이 금지돼 있었다. 상암동 월드컵 공원 내 충전소는 내비게이션 검색이 안됐으며 경기도 성남시 정자동의 한 충전소는 충전을 위해 별도의 주차비를 지불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특히 환경부와 지경부를 포함해 서울시 등 지자체에서 별도 설치한 충전소의 사용자카드 호환이 되지 않아 전기 충전이 불가능했다. 전시용이나 보급사업 행정용으로 이용될 뿐 실제 사용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 보급 사업으로 공공기관 직원뿐 아니라, 전기차 카세어링 사업으로 일반인도 전기차를 이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충전인프라 부족으로 거부감을 느끼는 소비층이 생각보다 많다”며 “서울시만 해도 수백 대의 충전기가 설치돼 있지만 사용자 호환이 안 되고 행정기관별로 오픈해서 운영하는 게 아니어서 활용도는 매우 떨어진다”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환경부나 지경부 등 주체별로 보급 및 사업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호환이 안 된다”며 “연말까지 전국의 충전소 설치 현황 등을 파악해 호환성 문제해결 등 이용 서비스 질을 향상 시킬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