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정지궤도용 발사장 신규 구축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세연 새누리당 의원은 8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나로우주센터에서는 정지궤도 위성발사가 불가능해 별도 발사장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지궤도 위성은 지상 3만6000㎞ 상공에서 지구 자전속도와 같은 시속 1만1000㎞의 속도로 지구를 도는 위성을 말한다.
김 의원은 나로우주센터는 나로호(KSLV-1) 3차 발사 이후 사용이 불가하다고 분석했다. 2단계 사업을 통해 발사장을 확장·변경하고 발사대 개조 등에 수천억원 예산을 투입해야 2021년 한국형발사체(KSLV-2) 정상 발사가 가능하다.
특히 발사장을 확장하더라도 외나로도에서는 발사각 등의 문제로 지구 저궤도 위성만 발사할 수 있으며 정지궤도 위성 발사는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2단계 사업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제주도(마라도) 등 국내 신규 발사장 건설 추진 △적도 인근의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국제협력을 통한 발사장 확보 △적도 근처의 해상 발사장 운용 등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국가들과 국제협력은 적도 인근 발사장 확보라는 `실리`뿐 아니라 향후 아세안 국가와 우주협력의 단초까지 마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내년도 예산을 우주개발 예산이 계획한 1500억원 대비 47% 삭감(700억원)된 데 대해 당국의 설명을 요구했다.
이용섭 민주통합당 의원은 우주분야 담당 교과부 전략기술개발관의 평균 근무기간을 8개월에 불과해 업무파악조차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담당 과장 중에도 이 분야에 1년 이상근무한 사람은 1명 밖에 없다”며 “업무기간이 짧은 것이 나로호 1, 2차발사 실패의 원인 중 하나가 아니냐”고 질타했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