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야?…이란, 국내 전용 인터넷 가동, 구글 등 차단!

이란이 내년 3월까지 국내 전용 인터넷을 만든다. 자국 핵 시설에 대한 사이버 보안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이란 국민들은 정부가 인터넷을 차단하기 위해 이 같은 조치를 취했다고 반발하고 있다.

24일 로이터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이란 정부 고위 관료는 최근 국영TV에 출연해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글과 G메일을 몇 시간 안으로 차단하겠다. 그들은 어떤 고지도 없이 우리의 정보를 필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란이 구글과 G메일을 차단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국내용 인터넷을 시험 가동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란 정부는 지난 2010년 변종 인터넷 바이러스인 `스턱스넷`이 정부 보안시스템에 침투해 시스템을 마비시켜 우라늄 농축 공장에 있던 원심 분리기가 일시적으로 가동된 사례를 들었다. 그러면서 “철저하게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연구진은 보고서에서 “이란 정부는 주요 기관과 군, 대학 등 서버와 단말기 1만여대를 연결한 인터넷 시스템을 개발했다”며 “웹사이트와 이메일 등 기초적인 서비스를 가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온라인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으며 특정 정보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네트워크를 개발했다”고 덧붙였다.

이란 시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이들은 2009년 마흐무드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이 선출되면서부터 페이스북, 유튜브 등이 온라인 반정부시위에 사용되자 이들 사이트를 막기 위한 조치라고 해석했다. 자체 인터넷 네트워크 구축을 가속한 것은 반정부 인사에 대한 온라인 활동 감시를 강화하고 시위가 발생하면 인터넷을 차단해 원천 봉쇄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로이터는 풀이했다.



허정윤기자 jyhu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