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가 요즘 찬밥 신세다.
한때 국가 성장동력의 중추로 각광받던 벤처가 이처럼 철지난 유행가 가사처럼 전락한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직접적으로는 너무 많아져서다.
올해만 약 2000개가 늘어 연말 국내 벤처 수가 2만8000개에 이른다고 하니 그야말로 `차이는 게 벤처`인 상황이다.
물론 생태계 속에 중간 도태되는 기업도 있을 테고 그중 0.001%는 대성공을 거둬 초대형 기업으로 커갈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처럼 벤처기업을 남발하는 시스템으로는 정말 벤처다운 벤처를 가려낼 수 없다는 맹점이 있다.
벤처다운 벤처를 걸러내지 못한다는 것은 벤처 생태계 전체에 해악만 줄 뿐이다.
무늬만 벤처인 채 확인을 얻어낸 기업이나 이미 벤처기업으로 뛰는 기업이나 벤처 확인을 받으려는 기업 모두에 불이익을 준다.
지금은 창조적 아이디어와 첨단 신기술로 무장한 기업이 성장 과정에서 반드시 받아야 할 지원을 애먼 일반 기업이 빼앗는 것을 방관하는 구조다.
특히 성장통을 겪고 궤도에 올라선 벤처가 진정한 성장여력을 가진 후진 기업에 재투자하는 건강한 벤처 생태계 구조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내년 새 정부가 들어서면 이제까지 펼쳐온 벤처정책을 종합적으로 재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조건 벤처육성만을 부르짖을 것이 아니라 계승할 것은 계승하되 손질할 것은 확실히 손질해야 한다.
`벤처기업`이라는 명칭 자체도 재검토가 필요하다.
벤처라는 명칭 자체가 지식·창의시대의 기업 형태와 맞지 않을 뿐더러 미래 성장산업의 요구를 다 내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벤처` 제도 종합 진단과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시론] 초거대 AI를 활용한 정부 혁신 기대
-
2
[ET단상]국내 중소 방산업체의 선제적 CMMC 인증 필요성
-
3
[정구민의 테크읽기]우리나라 자율주행 서비스 확산에 따른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
-
4
[ET톡]미래차 시대, 뭉쳐야 산다
-
5
[ET시론] 미래의 관세청, AI로 그리다
-
6
[ET톡] '연구하는 의사'를 응원합니다
-
7
[ET대학포럼] 〈209〉첨단기술 패권경쟁 시대,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
-
8
[리더스포럼] BOLD & BRAVE in JEJU
-
9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69〉인공지능 융합교육의 어려움
-
10
[기고] 디지털 기술 발달과 보이스피싱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