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구진이 대사증후군과 함께 생기는 비알콜성 지방간에서만 작용해 간에 지방을 축적하는 유전자를 발견했다. 지방간 감소와 대사증후군 진행을 완화시키는 치료제 개발의 단초가 될 전망이다.
김재우 연세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생쥐를 이용한 지방간 실험에서 `MGAT1` 효소가 지방간에서만 높게 형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이 발견한 MGAT1은 정상적 간에는 거의 발생되지 않았다. 김 교수팀은 지방간이 생기면 이 효소를 이용한 지방 축적이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효소를 억제한 결과 지방간이 완화됐다.
비만·당뇨병·고혈압·고지혈증 등을 포함한 대사증후군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예방과 치료에 많은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대사 증후군에 동반되는 간 지방증(비알콜성 지방간)은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킨다. 간염이나 간경변증 등 심각한 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까지는 대사증후군에서 간의 지방축적이 과도하게 일어나는 원인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서구화된 고지방 식습관에 따른 지방간 메커니즘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김 교수팀은 “`MGAT1`을 억제한 생쥐에서는 혈당 조절기능이 개선되고 체중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효소를 억제하면 지방간을 감소시키고 대사증후군의 진행도 늦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MGAT1효소 억제가 혈당조절 기능 개선과 체중 감소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밝히게 되면 비만 연구와 치료제 개발에도 큰 발전이 있을 것이란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