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나노미터(㎚·10억 분의 1m) 크기의 금 알갱이를 이용해 항암백신 위치를 추적하면서 효능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 전상용 교수와 이인현 박사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 표면에 암 모델항원(RFP)과 면역보조제를 결합해 `금 나노 항암백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항암백신은 환자의 몸 밖에서 활성화시킨 면역세포를 혈액으로 주사해 면역반응을 유도해 암을 치료한다. 하지만 제조 단계가 복잡하고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었다. 주입한 백신이 원하는 위치에 얼마나 도달했는지 가늠하기 힘들다.
금 나노 항암백신은 작은 입자를 활용해 면역세포가 모인 림프절로 직접 이동해 항체를 생산한다. 또 항암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치료효과를 높인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특히 엑스레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와 같은 영상기기로 위치 추적이 가능해 항암백신이 목표한 조직에 잘 전달됐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상용 교수는 “기존 백신에 비해 복잡한 과정 없이 면역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다”며 “암뿐만 아니라 다양한 바이러스성 질환에도 이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독일화학회가 발간하는 화학분야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최근호에 실렸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