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의 모바일 인터넷전화(mVoIP) `보이스톡`을 놓고 통신사와 mVoIP 서비스 사업자가 정면 격돌할 조짐이다.
국내에서 3500만 회원을 확보한 카카오톡이 무료 통화인 보이스톡 서비스에 나서면 통신사 매출이 급감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시장조사기관의 시뮬레이션 결과로 추정하면 통신 3사의 매출이 8%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조사도 나왔다.
통신사는 가뜩이나 지난해 카카오톡 열풍으로 단문문자메시지(SMS) 매출이 1조원가량 날아간 상황이다. 보이스톡으로 음성 통화 매출까지 줄어들면 적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통신업계는 이 때문에 보이스톡을 상용화하면 IP를 추적해 차단조치에 나서겠다고 벼르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적자를 피하기 위해 통신요금을 인상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하고 있다.
기업의 목표가 이윤추구인 것을 감안하면 이해가 가는 측면이 없지 않다. 정부도 적자가 나면 요금 인상을 저지할 명분이 약해진다.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피해가 갈 수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mVoIP 사업자들의 비즈니스 자체를 막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mVoIP 서비스와 관련한 한국식 가이드라인을 만들어야 하는 정부는 머리가 복잡할 수밖에 없다.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정해지느냐에 따라 양쪽의 희비가 엇갈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범답안이 없는 것도 아니다. 이미 해외에서는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2가지 모델로 압축됐다. 통신사 자율규제에 맡기거나 mVoIP 서비스를 전면 허용하되 통신료 인상을 허용하는 안이다. 정부는 이 가운데 어느 방안이 가장 윈윈할 수 있는 모델인지를 선택하면 된다. 통신사, mVoIP 서비스 사업자, 이용자 등 스마트 생태계 모두에 이득이 되면 금상첨화다.
IT 많이 본 뉴스
-
1
세계 100개국 이상 700MHz 주파수 통신용 할당…한국도 새 활용처 모색필요
-
2
KT, 미디어 계열사 사명 변경…그룹 시너지 강화
-
3
애플 올 하반기 아이폰에 RCS 도입…파랑색 말풍선 차별은 지속
-
4
중소 알뜰폰, 올해부터 전파사용료 약 40억원 낸다
-
5
[이슈플러스]장기전 돌입한 넥슨 vs 아이언 메이스... 2심 쟁점은?
-
6
함저협, 유료방송에 음악 저작권료 소송 제기
-
7
샤오미 울트라 나온다…글로벌 프리미엄폰 공략 가속
-
8
끝없는 K콘텐츠 세계관…콘텐츠 IP 경제 파급효과 8조 돌파
-
9
애플 '보급형 AI폰' 아이폰16e 공개…28일 韓 출시
-
10
다산네트웍솔루션즈, MWC25 참가…모바일·5G솔루션 공개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