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공공기관, 전담 보안팀 구성 놓고 `골머리`

중소 공공기관이 전담 보안팀 구성을 놓고 골치를 앓고 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나 개인정보보호 평가항목에 전담 보안팀 구성 여부가 추가될 예정이어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24일 공공기관에 따르면, 중소 공공기관은 보안인력 충원이 어려워 전담 보안팀을 구성하지 못하고 있다. 내부에 보안인력이 없는 경우 외부 인력을 충원하자니 인력편성제한(TO)에 여유가 없어 이러지도 저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기획재정부가 공공기관 인력을 줄이고 있는 상황에서 인력충원은 생각조차 못하고 있다.

실제 한국농어촌공사, 근로복지공단 등 대다수 중소·중견 공공기관은 보안 전담인력이 1~2명 정도이거나 시스템 운영인력이 보안을 담당하고 있다. 일부 초대형 공공기관을 제외하고는 대형 공공기관이라 할지라도 전담 보안팀이 신설된 건 대부분 지난해 하반기 이후다. 그것도 보통 3~4명 정도가 여러 업무를 겸직하는 형태다.

한 공공기관 최고정보책임자(CIO)는 “각종 공공기관 평가에서 전담 보안팀 구성을 평가항목으로 포함시킬 예정이어서 의무 아닌 의무 사항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일부 정부부처는 산하 공공기관에 전담 보안팀을 신설하라는 지침을 내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차라리 공공기관 전담 보안팀 구성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기를 바라고 있다. 다른 공공기관 CIO는 “차라리 금융권처럼 보안 관련 규제가 의무화되면 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에 TO와 관련 예산을 요구할 수 있다”면서 “현재처럼 법적 의무화가 아닌 상태에서는 아무런 요구도 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향후 전담 보안팀을 구성할 수 있는 TO가 늘어난다 하더라도 시장에 전문가가 없다는 것도 문제다. 이미 금융권에서 보안 전문인력 상당수를 영입한 상태다. 더욱이 금융권 등 민간 기업의 높은 급여 수준을 공공기관이 맞춰 주기에는 한계가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전담 보안팀 구성을 위해 추가 인력을 충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