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VNO 활성화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해 그에 맞는 단계별 지원전략 수립이 절실하다.
정부와 업계가 시장 상황을 냉정하게 분석한 후 MVNO가 전체 이동통신 시장에서 차지할 수 있는 목표 점유율을 정해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구체적인 목표와 중장기 계획이 빠진 활성화 정책은 실효성이 적기 때문이다.
한국MVNO협회는 최근 방송통신위원회에 제출한 `MVNO 활성화를 위한 공동건의서`에서 MVNO가입자 비중이 15%에 이를 때까지 적극적인 정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연말 기준 국내 이동통신시장 가입자 5250만여명으로 15%는 800만명에 가까운 수치다.
3위 이동통신사업자(MNO) LG유플러스 가입자도 940만명 수준에 머무는 시장 현실을 감안하면 달성하기 쉽지 않은 규모다.
MVNO 서비스를 시작했거나 준비 중인 온세텔레콤·에넥스텔레콤·에버그린모바일·한국케이블텔레콤·CJ헬로비전 등 주요 사업자가 올해 수립한 가입자 목표는 150만명 정도다. 내년부터 가입자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더라도 MVNO 점유율을 15%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짧게는 3~4년, 길게는 5년 이상이 소요될 전망이다.
MVNO 확산 추세에 맞춰 단계별 지원 계획을 별도로 수립해야 하는 이유다. 단발성 지원정책을 넘어 단기 및 중장기 지원계획을 만들어나가야 한다.
방통위는 MVNO 사업자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이르면 다음달 MVNO 활성화 방안을 추가로 내놓을 예정이다. 이에 앞서 방통위는 23일 김충식 상임위원 주재로 9개 MVNO사업자 대표와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는 MVNO업계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인 단말기 유통 구조 개선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김 상임위원은 “단말기 유통 개방제도 시행과 MVNO 활성화를 올해 주요정책 과제로 추진한다”며 “최대한 MVNO 활성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MVNO업계 대표들은 단말기 유통 개방제도가 차질 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이통사 망적합성테스트(IOT)에 소요되는 기간·비용을 최소화해줄 것 등을 건의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MVNO사업자 대표는 “단말 유통 개방제도가 MVNO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단말 애프터서비스(AS), 서비스 연동 문제 등이 해결돼야 한다”며 “제도 시행 후 수반되는 문제에 대해서도 미리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활성화 정책과 함께 MVNO사업자 스스로 경쟁력을 높이는 것도 과제다. 규제와 정책만으로 민간사업자 비즈니스를 활성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특화 요금제 개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 △유통망 확대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갖춰나가야 한다.
MNO와 MVNO 간 협력 강화도 요구된다. MNO와 MVNO가 서로 시장을 뺏고 빼앗기는 대립관계가 아니라 부족한 부분을 서로 채워주는 상생 파트너로서 협력 관계를 정립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