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억원이 투입되는 정부의 3D융합산업육성사업 주관기관을 둘러싸고 광주지역에서 지자체를 비롯한 기업지원기관 및 연구기관 간 주도권 다툼이 일고 있다. R&D 전문기관으로 구성된 당초 사업계획과 달리 광주시와 광주테크노파크가 뒤늦게 이 사업에 참여, 주관기관이 되면서 벌어졌다.
광주~대구~경북 등 초광역연계협력사업으로 추진되는 3D융합산업은 오는 2016년까지 5년간 3266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지난해 9월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하면서 광주지역은 국비 951억원, 지방비 104억원, 민자 175억원 등 1230억원을 확보했다. 3D융합산업 연계클러스터 구축을 비롯해 3D융합 상용화지원센터 구축, 강소기업 육성지원, 기술사업화, 인력양성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한국광기술원이 광주지역 주관기관으로 참여하며 전자부품연구원 광주본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호남권연구센터가 참여기관으로 선정됐다. 오는 7월 지경부와 협약 체결을 앞두고 있다.
갈등이 표면화된 것은 광주시가 해당 사업을 총괄하는 주관기관으로 광주테크노파크를 내세우면서부터다. 광주시는 104억원에 달하는 지방비 투자 내세워 광주테크노파크에 힘을 실어줬다. 광주테크노파크는 융합산업지원단을 신설하고, 내부적으로 주관기관 역할을 사실상 확정한 상태다. 테크노파크는 자체 연구기능이 없는 지원기관이다.
이에 대해 처음 사업을 제안했던 연구기관 관계자는 “R&D 국책과제 총괄기관에 연구기능이 없는 지원기관이 선정되는 것도 문제지만 다 된 밥에 숟가락만 올리는 행태도 옳지 않다”며 “이런 식이라면 앞으로 신사업 참여에 나서기가 어려운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정부기관 승인을 받은 사업계획서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대구와 경북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행정절차도 거쳐야 한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거버넌스 구축 및 효율적 사업추진이라는 지경부 방침에 따라 테크노파크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며 “연구기관들이 R&D에 매진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광주=서인주기자 si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