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글와글 e세상]

 “거짓·유해 (인터넷) 정보의 구분은 규제로 걸러낼 게 아니라 초·중·고등 교육으로 그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

 <달가른이, 전자신문> 인터넷 실명제 표상인 ‘인터넷 게시물 이용자의 제한적 본인확인제’와 관련한 위헌 여부가 곧 가려질 것이라는 기사를 읽고.

 

 “소통은 뒤로한 채 국민의 눈·귀·입을 막으려고만 하니 안타깝네요.”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트위터를 비롯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불법·유해 정보 여부를 심의한 뒤 특정 이용자의 접속을 차단하기 전에 경고·자진삭제를 권고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여성(가족)부가 사라진다고 해서 만들어 놓은 것들이 사라지나요?”

 <마린다(rrcia007), 네이버> 16세 미만 청소년의 심야 게임 접속을 차단하는 ‘셧다운제’를 시행한 여성가족부를 테러하자는 일부 누리꾼의 주장을 다독이며.

 

 “30년 전 만화책 뺏는 거랑 비슷하다. 그걸 2012년에 하고 있으니….”

 <정모아, 다음> 게임 ‘셧다운제’를 시행한 뒤로 한 달간 청소년 접속자가 4.5% 줄어드는 데 그쳐 실효성이 낮았다는 소식에.

 

 “그렇게 (폭스콘처럼) 하지 않으면 23%나 비싸!”

 <시리, 더데일리쇼> 주요 애플 제품을 조립하는 중국 폭스콘 공장의 열악한 근로환경을 풍자한 ‘더데일리쇼’에서 ‘아이폰 4S’의 음성인식서비스 ‘시리’가 한 말.

 

 “빈 깡통 요란하게 흔들어 세금 낭비한 자원 외교.”

 <유인도, 다음> 몽골에서 추진하는 석탄 개발사업이 기약 없이 미뤄진다는 전자신문 그린데일리 보도 내용을 접하고.

 

 “철저한 반성 없는 외침은 총선·대선을 앞둔 공허한 구호에 불과하지요.”

 <백찬홍(@mindgood), 트위터> 민주통합당의 재벌 개혁 주장이 귀에 들어오지 않는다며.

 

 “우리는 늘 그래요. 그러다 여기까지 왔지요.”

 <정두언(@doorun), 트위터> 2011년 6월 자신이 정치권에서 처음으로 재벌 개혁을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주도권을 야당에 내줬다며.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