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검열 배후에는 중국?

Photo Image

 트위터가 국가별 검열 방침을 밝히면서 파문이 일파만파로 확대됐다. 이용자들은 트위터의 이 같은 조치가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위한 모종의 계획에 의한 것이라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트위터는 지난 26일(현지시각) 공식 블로그를 통해 “앞으로는 국가별로 금지된 내용을 포함한 트윗이나 트위터 계정은 해당 나라에서 접근을 차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차단된 메시지가 포함된 계정에 접속하면 해당 국가에서는 ‘Tweet withheld(트윗 보류)’나 ‘@Username withheld(사용자 보류)’라는 메시지가 뜨게 된다.

 이용자들은 트위터가 중국 등 해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국가에 진출하기 위해 사전 정지작업을 한 것이라는 의구심을 떨치지 않고 있다.

 중국의 경우, 당국 감시 체제에 부응하지 않으면 서비스를 제한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는 이 달부터 인터넷 실명제를 전격 도입해 중국 정부의 인터넷 여론 형성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데 동참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트위터는 중국에서 웨이보에 밀려 힘을 쓰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트위터의 전세계 가입자가 2억 명에 머물고 있는 반면에 웨이보는 중국에서만 2억5000만명이 이용중이다. 트위터는 지난해부터 이렇다할 유료 서비스를 내놓지 못해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어 중국 시장은 충분히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그러나 트위터의 이 같은 방침은 기존 이용자들의 이탈을 초래할 수도 있어 보인다. 국제 언론감시단체인 ‘국경 없는 기자회’는 트위터 공동창업자 잭 돌시에게 “트위터는 중국 정부 눈치를 보고 있다”며 “억압받는 나라의 반체제 인사들에게 매우 중요한 도구를 박탈한 것”이라고 비난 서한을 보냈다.

 트위터는 지난해 ‘아랍의 봄’ 등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 정치혁명의 기폭제로 작용했다. 세계적으로 반체제 인사들의 자유로운 발언대로 활용되던 대표적인 SNS여서 이용자들은 트위터가 검열공간으로 전락하는 분위기에 비난 일색이다.


허정윤기자 jyhu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