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장기화로 세계 각국이 수입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수출지역 및 품목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는 17일 ‘대한 수입규제총람’을 발간하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 불경기로 수입장벽을 높일 것이라며 이 같이 조언했다.
선진국은 미국 월풀의 삼성·LG 냉장고 및 세탁기 제소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판매 부진 등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관련 업계를 중심으로 소송을 적극적으로 제기할 것이란 관측이다.
특히 최근에는 인도·터키 등 신흥 개도국은 정부 차원에서 자국 산업 보호 및 육성을 위해 수입규제 조치가 급증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또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목인 석유화학 및 철강 부문이 전체 규제의 66.6%를 차지했다.
국내 기업의 수출 환경이 지속적으로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가능하다.
무협 통상지원유닛 박철용 실장은 “수출이 특정국가에 집중되지 않도록 다변화를 추진하고, 반덤핑제소가 저부가가치 산업에서 빈발하는 점을 고려해 수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경제계 전반은 자본시장 불안정성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정부 노력을 촉구하는 한편, 기업은 유럽 재정위기의 진행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금융 불안 지속과 실물경제 위축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움직임이다. 특히 재정위기가 유럽 국가의 시장과 소비자에게 미칠 영향을 파악해 중장기 생산 및 판매, 마케팅전략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