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청년 창업을 올해 주요 국정 어젠다로 삼았다. 이명박 대통령이 대국민 신년사에서 그 이유를 설명했다. 1인 창업에 도전하는 것은 개인 성공을 넘어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고용 없는 경제 성장, 청년 실업 문제 심화, 선진 경기 침체 등 사회·경제적 상황을 고려해볼 때 청년 창업 활성화로 우리 앞에 높인 불투명한 경기를 돌파하겠다는 의지다.
이명박 대통령은 한발 더 나아가 청년들에게 글로벌 창업도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청년들이 아프리카에도 가고, 남미에도 가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하라”며 “실패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정부가 최대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청년들은 대통령 말에 힘이 났을 것이다. 고국을 떠나 세계 시장에서 열심히 뛰는 본인 모습을 머릿속에서 그렸기 때문이다. 정부가 청년에게 글로벌 창업을 위해 예산을 얼마나 지원할까 하는 생각에 지식경제부 올해 지원 예산을 꼼꼼히 살펴봤다.
정부는 창업지원사업화 항목 중 글로벌 청년 창업 활성화 지원 사업에 31억원 예산을 할당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모바일애플리케이션 등 활성화로 글로벌 IT 산업 환경이 변화하고 있으니 청년에게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창업 도전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예산을 짰다는 게 게 정부 측 설명이다.
하지만 정부가 청년에게 글로벌 창업 지원을 강하게 약속한 것에 비하면 예산이 부족하다. 대통령이 청년들에게 공언한 말과 실제 지원 예산규모 사이에 온도차가 분명 존재한다.
게다가 글로벌 청년 창업 활성화 사업은 개인에게 창업 자금을 지원하는 게 아니다. 100명 내외 예비 글로벌 청년 창업자를 선발해 국내·외에서 창업 교육을 시키는 단순 교육 프로그램에 대부분 예산이 쓰인다. 이 사업에서 그럴듯한 ‘글로벌’이란 포장을 풀어보면 일반 창업 교육 프로그램과 별 반 차이가 없다.
이러한 글로벌 창업 지원 개념으로는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있어도 글로벌 청년 창업 성공은 장담하기 힘들다. 페이스북 CEO 마크 저커버그 같은 글로벌 청년 CEO를 결코 배출할 수가 없다. 글로벌 청년 CEO를 배출하기 위해선 교육프로그램 지원 개념에서 탈피해야 한다. 정부는 글로벌 청년 창업을 R&D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글로벌 청년 창업’을 글로벌 협력 R&D과제로 기획하고 투자해야 한다.
박세리 골프 선수가 지난 1998년 LPGA챔피언십에서 첫 우승한 이후 박세리 골프 성공 신화를 잇는 세리키즈가 다수 출현한 것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다. 정부는 글로벌 청년 CEO 모델을 성공적으로 개발해 청년들에게 글로벌 IT 시장에서 창업 성공에 대한 희망을 넣어줘야 한다.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