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다윗의 반란]<5>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Photo Image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 인증을 받은 한국플라스틱시험원의 연구원이 플라스틱 제품 시험을 하고 있다.

 ‘공동 연구개발(R&D)과 인력양성은 기본이고 정부 규제 및 애로해소 노력 등 모든 분야를 공동사업화 한다.’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회장 조봉현)이 추진하는 공동사업의 목표다. 실제로 프라스틱연합회는 공동사업 범위 확대와 함께 할당관세, 플라스틱 폐기물부담금 등 각종 규제를 직접 발 벗고 나서 해결했다.

 조봉현 연합회장은 “협동조합들은 지난 2007년 대표적인 수입원이던 단체수의계약제도가 폐지되면서 위기를 맞았다”면서 “하지만 연합회는 공동사업 활성화를 통해 2007년 19억원이던 예산이 올해 30억원으로 확대됐는데, 이것이 공동사업 성과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프라스틱연합회 공동사업은 1990년대부터 본격화됐다. 지난 1993년 한국플라스틱시험원이 기술표준원으로부터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으로 인정받았다. 또 공동 R&D 사업으로 플라스틱봉투 제대기, 비닐하우스 지주보호대, PE관 이음부 확장 기술, 컨테이너 바닥재, 하수용 맨홀 등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기존 플라스틱관의 단점을 획기적으로 보완한 GPP관을 개발하고, 시장조사를 진행중이다.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개척을 위해 공동상표 ‘아디아포라’를 개발했으며, R&D를 통해 개발된 제품 위주로 브랜드화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업계와 관련한 규제와 애로해결을 위해 연합회가 중심이 돼 공동 대응하면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할당관세 문제가 대표적이다. 연합회는 플라스틱산업의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인 원료(합성수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할당관세 제도가 필요하다고 정부에 강력 건의했다. 그 결과, 2006년부터 현재까지 주요 합성수지에 대해 할당관세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에는 태양광전지시장 호황으로 가격이 폭등한 EVA까지 할당관세 품목으로 추가됐다.

 플라스틱 폐기물부담금을 최종제품에만 부과하는 최종제품제도도 연합회가 나서 이끌어냈다. 2007년에는 플라스틱제품 제조업체가 폐플라스틱을 스스로 재활용하면 부담금을 면제받는 자발적 협약제도 법제화를 이뤄냈다.

 연합회는 기존 부담금 부과대상 기업의 80% 이상이 직접부과 대상에서 제외됐고, 플라스틱이 폐기물이 아닌 순환자원이라는 환경정책의 방향전환을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추진할 공동사업 계획도 탄탄하다.

 단기적으로는 단체표장과 공동상표를 이용해 공공구매사업에 진입하고, 민수시장 보급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의 플라스틱시험원의 인력과 설비를 보강해 R&D 기능까지 갖춘 플라스틱 전문 시험연구원으로 확대 개편도 추진한다.

 중장기 적으로는 ‘플라스틱센터(가칭)’를 설립해 플라스틱 관련 조합과 단체들을 한 곳에 모으고, 플라스틱산업 관련 정책 건의를 포함한 브레인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는 방안을 구상중이다. 센터는 플라스틱성형 관련 기술인력 교육, 검인정 기능 담당 인력양성, 인증사업까지 많은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 연합회장은 “공동사업에 참여하면 소득이 있고, 불참하면 손해가 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주면 누구나 참여한다”면서 “회원사와 회원 조합을 위해 플라스틱센터 등 시장 활성화를 위한 공동사업을 지속적으로 펼치겠다”고 덧붙였다.

Photo Image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 인증을 받은 한국플라스틱시험원의 연구원이 플라스틱 제품 시험을 하고 있다.

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