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가 태양광·풍력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와 전기차 산업 촉매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정전예방 및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에 필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그리드가 신재생에너지를 대규모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적 측면을 보완해 효율적인 에너지 공급체계를 조성하기 때문이다. 향후 이상 기후와 전기차 산업 성장 등으로 에너지 수요예측이 어려워 세계적으로도 스마트그리드가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미래비즈니스포럼 2011’에선 스마트그리드에 따른 산업적용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이목이 집중됐다.
업계는 지금도 ‘스마트그리드가 산업인가, 기술인가’에 대한 정체성 논쟁이 있지만 스마트그리드 가속화에는 모두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최종웅 LS산전 부사장은 “OECD 국가 평균 전력소비가 지난 10년 동안 8.4%가 증가했고 2030년까지 전기사용이 28% 증가할 것”이라며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구축과 수요·공급이 일치하는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에 스마트그리드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현재 스마트그리드 산업은 제주 실증단지 등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전력망 고도화나 관련 법·기술표준 미흡 등 이유로 산업화에는 아직 막연한 상황이다.
최 부사장은 “급격한 그리드 교체는 어렵기 때문에 하이브리드형 그리드를 거쳐 점진적으로 교체될 것”이라며 “마이크로그리드·그린빌딩·지능형가전기기·전기차 등 당장 가능한 사업 실용화부터 착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스마트그리드를 이해하고 산업을 조장하는 데 전기차 관련 사업이 주로 다뤄졌다. 주영섭 지식경제부 R&D 전력기획단 주력산업 MD는 “전기차가 연료전지차보다 충전인프라 구축 등 상대적으로 실현가능성 우위에 있다”며 “전기차 시장은 예측이 아니라 만드는 플레이어가 많아지면 시장은 자동적으로 커진다”고 강조했다.
이어 “세계 각국의 전기차 계획을 합산하면 2020년에 전기차 생산 규모가 연간 1000만대에 달할 것”이라며 “정부 정책은 환경규제·보급정책·충전인프라 구축 초점에 맞춰 ‘세계자동차 산업 4대 강국’ ‘그린카 3대 강국 도약’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도시형 1~2인승 세컨드카 △전기차 전용 모터·배터리·인버터 △전기차 및 충전인프라용 전력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리스·렌터카·카셰어링 등 전기차 기반의 다양한 사업 모델이 심층 논의됐다.
최창식 삼성SDI 부사장은 침체된 글로벌 태양광 시장을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부사장은 “태양광 산업은 수년간 양적·질적 성장을 이뤄왔지만 최근 금융위기와 주요 선진국의 긴축재정으로 시장이 위축됐다”며 “하지만 불황은 호황을 준비하는 시기로, 경쟁사와의 기술격차를 좁힐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말했다.
기술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는 기술이전, 조인트벤처 설립, 인수합병 등을 꼽았다. 현대중공업과 독일 아반시스의 합작사인 현대아반시스가 구리·인듐·갈륨·셀레늄(CIGS) 박막 태양전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 등이 좋은 예라는 설명이다.
변종립 지식경제부 기후변화에너지자원개발정책관도 신재생에너지 수요 위축 등 위기가 오히려 기회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내실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으로는 그간의 성과를 기반으로 보다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본격적인 성장을 실현한다는 목표다.
변 국장은 “신재생에너지를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10대 그린프로젝트 내실화, 햇살가득홈 프로젝트 추진, 36.5도 제품 확대 등에 힘쓸 계획”이라며 “신재생에너지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고 교육·홍보 강화를 통한 공감대 형성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생발전 확산과 튼튼한 산업기반 마련, 제도개선에도 힘을 쏟는다.
내년 시작되는 RPS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이행비용을 전기요금에 반영하는 한편, 일정 전력량 이상 소비 법인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자가사용 비율을 의무화하는 ‘2단계 RPS’ 도입을 검토한다. 범부처 협력을 통한 시너지 창출, 공공의 의무강화와 민간투자 촉진, 금융지원 강화 및 인증시스템 선진화 등도 추진한다는 목표다.
변 국장은 “그 간의 성과를 토대로 해외시장 선점에 초점을 맞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라며 “2015년 5대 신재생에너지 산업 강국, 2030년 신재생에너지 비중 11%를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박태준·유선일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