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후...한국과 중국, 한몸처럼 움직인다

한·중 경기동조화 뚜렷

금융위기 후 한국과 중국경제의 상관관계가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의 실물경제지표는 물론 금융지표까지도 함께 움직이는 경기동조화 현상이 뚜렷해진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24일 발표한 ‘금융위기 이후 한·미·중 경기동조화 현상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 간 GDP 증가율, 산업생산 증가율, 주가지수 등 실물·금융지표 상관관계가 금융위기 발생시점인 2008년을 기점으로 미국, 일본, EU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GDP 증가율의 경우 금융위기 이전에는 한국과 중국 간 상관계수가 -0.17로 다른 국가들보다 현저히 낮았지만, 2008년 이후에는 0.94로 크게 높아져 한-미(0.83), 한-일(0.87), 한-EU(0.74) 상관계수를 추월했다. 상관계수 1이 똑같이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1에 가까울수록 상관도가 높다.

산업생산 증가율 상관계수 역시 금융위기 전후로 0.05에서 0.89로, 대표적 금융지표인 주가지수 역시 0.54에서 0.89로 다른 국가들과의 상관계수들을 앞질렀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최근 중국과의 교역 비중과 해외투자 비중이 높아져 그만큼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라면서 “실제 2010년 중국과의 교역량이 전체의 약 21%를 차지해 교역 1위로 부상했으며, 대중국 투자 비중 역시 전체 해외투자의 13.6%로 대미국 투자 비중(14.2%)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한·중 경기동조화 현상에 대해 최근 저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미국·유럽 등 선진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고 중국 경제의 고성장을 성장 동력 삼은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중국 경제가 심각한 불황을 겪을 경우 우리 경제에 직접적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보고서는 “국내 기업들은 먼저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면서 “중국 시장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고 중국 판매·마케팅 전략과 생산·재고 계획을 꼼꼼하게 점검할 것”을 주문했다.

특히 중국 정부의 기업 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 비시장적 요인이 기업활동에 주는 부정적 영향을 축소시키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국내기업들의 수출·투자 대상 지역을 다변화해 위험을 분산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을 제외한 BRICs 국가와 최근 수출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ASEAN 국가 등 성장잠재력이 높은 신흥국으로의 진출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자신문미디어 테크트렌드팀 trend@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