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노파크 특화센터 자립화 해법은?

 전국 테크노파크 산하 60여 특화센터의 자립화 방안이 지역 산업계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가 특화센터의 주 재원이던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을 오는 2013년부터 광역선도사업과 통합하고, 특화센터의 자립화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화센터 자립화는 센터 자체의 생존 여부는 물론이고 센터의 지원을 받고 있는 수많은 지역 중소기업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센터들은 자립화 연착륙을 위해 단계적인 사업 통폐합이나 축소 또는 새로운 지원책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특화센터는 정부의 신지역산업 추진에 따라 당장 내년부터 어떤 식으로든 자립화 방안을 준비해야하는 상황이다.

 ◇시험인증·장비활용으로 돌파구 모색=특화센터 자립화 문제는 광역선도산업이 시행되고 특화센터가 테크노파크 산하 조직으로 재편되면서 지난 2009년부터 제기되어 왔다.

 부산테크노파크 기계부품소재기술지원센터는 이때부터 자립화 계획을 세우고 단계적으로 준비했다. 센터는 먼저 구축 장비를 활용해 기업지원 시험인증 범위를 확대했다. 이를 통해 다시 장비 활용도가 높아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국제 시험인증 분야는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고 있다. 현재 공기청정기, 전열교환기, 에어컨, 냉장고, 전기청소기 5개 분야 KOLSA 국제공인시험기관 인정을 획득해 유지하고 있다. 해외 주요 전기안전공인인증시험소도 운영 중이다.

 센터는 2009년부터 올 10월까지 2만2000여건 장비활용 지원성과를 나타냈다. 고도의 장비활용은 연 8억원 안팎의 센터 주요 수입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신규 사업 통해 예산 확보=신규 사업 확보는 지역진흥사업 통합에 따라 사라지거나 축소되는 예산을 메울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안이다.

 대구테크노파크 모바일융합센터는 신규 사업 확보를 통해 자립화에 다가선 경우다.

 센터의 올해 총 사업비는 210억원 규모다. 내년에는 300여억원으로 늘어난다. 이중 250억 원은 지난해 ‘모바일융합 글로벌 경쟁력 강화사업’ 확보를 통해 마련했다. 국비 지원만 190억 원에 달한다. 센터는 오는 2013년 시작하는 선도전략사업의 스마트모바일 분야 80억원의 사업비도 선점한 상태로 알려졌다.

 부산테크노파크 자동차부품기술지원센터는 광역연계협력사업의 하나인 ‘전자파환경 유해성대책 그린벨트사업’과 ‘BLDC모터 표준화 및 표준모델보급사업’을 통해 100억원 사업비를 확보하고 있다.

 올해 사업비 200억원 규모의 대구테크노파크 나노융합실용화센터는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을 통한 사업 비중은 20% 안팎에 불과하다.

 ◇자체 R&D 역량 강화로 연착륙 시도=자체 R&D기능과 역량을 갖추면 정부 대형 R&D프로젝트 참여가 가능해진다. 지금까지 특화센터를 포함한 테크노파크 R&D사업 참여는 컨소시엄 또는 기업지원 R&D에 국한돼 있었다.

 대구TP 나노융합실용화센터는 정부 연구개발과제로 올해부터 6년간 240억원이 투입되는 소형 방사성 동위원소전지 기술개발사업 참여를 추진 중이다. 송규호 센터장은 “신규 연구개발과제 등 직원의 R&D 역량을 높여 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발굴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역산업 고도화를 위해서는 테크노파크가 일정 정도 R&D 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주장이 확대되고 있다. 테크노파크의 R&D 역량은 지역산업 육성 기획력을 보다 탄탄하게 하고, 시험인증 기능을 강화할 뿐 아니라 다양한 기업 지원 업무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는 얘기다.

 특화센터 자립화와 함께 지자체의 지원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센터 자립화 문제는 결국 지역 기업에 관한 지자체의 책임을 강화하라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