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중독 관련 질환자 지속 증가

10대 비중 58%…0∼20대가 전체의 96.9% 차지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유정복 의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심사평가 자료 분석 결과 지난 2007년부터 지난 6월까지 인터넷 중독 관련 상병 환자 수가 34만1천971명에 달했다고 26일 밝혔다.

유 의원은 인터넷 중독이라는 명확한 상병기호가 없어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심평원이 추정하는 `기타 습관 및 충동 장애`, `활동성 및 주의력 장애`, `과다 운동성 행실 장애`, `기타 과다운동장애`, `상세불명의 과다운동장애`, `사회화되지 않은 행실장애`, `사회화된 행실장애`, `우울성 행실장애` 등을 중심으로 환자 수를 집계했다.

다만 인터넷 중독 이외에 다른 질병 요인에 의해 더 자주 발병하는 적응장애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했다.

연도별로 인터넷 중독 관련 상병 환자 추이를 보면 2007년 7만25명, 2008년 6만8천484명, 2009년 7만3천975명, 2010년 7만4천646명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올해도 상반기에만 무려 5만4천841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연령별 환자 수를 보면 전체 7만4천646명 가운데 10대 환자가 4만3천307명으로 57%를 차지했고, 0∼9세(2만7천606명, 37%), 20대(1천410명, 1.9%) 순이었다.

0∼20대 환자 비중은 전체의 96.9%에 달했다.

질환별 환자 수를 보면 `활동성 및 주의력 장애`가 5만4천630명(73.2%)으로 가장 많았다.

유 의원은 "최근 인터넷 게임에 빠져 아이를 굶겨 죽이는 참혹한 사건이 발생하는 등 IT(정보기술) 강국이라는 우리나라의 화려한 수식어 뒤에 인터넷 중독이라는 어두운 이면이 드러났다"며 "인터넷 중독을 해결하지 않고 방치하면 사회적 중독으로 발전할 수 있는 만큼 각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10대 청소년은 물론이고 초등학교 저학년 연령대에서도 인터넷 중독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확한 중독 환자 통계 산출이 필요하며, 관련 질환에 대한 질병코드를 신설해 체계적인 자료관리와 치료대책을 세워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