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우’는 사람을 조처해 대우한다는 의미다. 주로 직장에서 지위나 급료 따위의 근로 조건을 얘기한다.
최근 과학기술계에도 ‘처우’가 자주 언급되는 단어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연구자들이 연구실을 떠나는 이유 중 하나로 거론되기 때문이다.
상황은 심각하다. 지난 2003년 이후 지금까지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연구기관에서 이직한 연구원만 무려 722명이다. 이들 가운데 절반이 조건이 더 나은 대학으로 자리를 옮겼다. 정부 조사에서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27.3%가 1년 내 이직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신분불안정과 임금·처우가 이유다. 연구자 중 30대가 경제적 처우나 연구 환경 만족도가 낮다.
실제로 대학교수 평균 연봉은 7300만원인 반면 출연연 연구원 평균보수는 5000만원 수준이다. 여기에 공공기관 대졸초임 삭감방침으로 연봉격차는 더 벌어졌다.
그동안 급여와 정년, 신분보장, 연구관련 제도개선에 연구자의 많은 요청과 요구가 있었다. 하지만 당국은 사실상 이를 모른 척했고 뒤로 미뤘다. 지친 연구자들은 결국 다른 길을 찾아가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를 바라본 젊은 학생들이 덩달아 이공계 분야를 포기한다는 것이다. 지난 4년여 동안 26개 국립대학에서 3만4000여명의 이공계 학생들이 자퇴하거나 비이공계로 전공을 바꿨다.
과학기술은 국가경쟁력의 토대다. 미래사회에 그 중요성은 더 커진다. 연구자가 연구실을 떠나는 한국과학의 미래는 암울할 뿐이다. 이 분위기에서 해외 우수 두뇌를 불러온다는 것도 희망사항이다. 매년 펼쳐지는 노벨상 잔치에서 한국은 지금까지 그랬던 것처럼 소외될 공산이 크다.
과학과 연구는 경제적 실익이 최종 목적이 아니다. 과정에서 모험과 도전정신이 필요하고 많은 실패도 따른다. 연구자에게는 다른 고민 없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조건과 환경이 더 필요하다. 연구자들이 연구실을 떠나지 않도록 만들자.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