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5일 정전사태와 관련 전력 수요관리를 상시 프로그램으로 변경하고 선진국형 수요 대응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창호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산업연구센터장은 22일 에너지시민연대가 주최한 ‘사상 초유의 정전사태 원인과 대책’ 토론회에서 “기존 수요관리 시스템은 성과 검증이 어려웠다”며 “효율적이고 시행 검증이 가능한 새로운 수요관리 방법을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센터장은 기존 전력 수요관리에 대해 △체계적·객관적 수요 감축 프로그램 부재 △특정시기 수요관리 △시행 후 성과 검증의 어려움 △예산 부족에 따른 효과 미비를 문제점으로 꼽았다. 특히 15일 정전 시 시행한 직접부하제어 90만㎾와 비상절전 95만㎾는 시행이 불명확하고 별도 인센티브 없이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하는 비상자율절전이기 때문에 실적을 바라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 센터장은 상시 수요관리 프로그램은 전력 공급자원과 같은 기준에서 관리·시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력 위기 시 공급자원으로는 단기적인 대응이 어려운 만큼 수요관리의 높은 인센티브 필요성도 제기했다.
선진국형 수요대응 시스템으로는 통신·제어·모니터링이 가능한 기술적 인프라를 통해 발전기와 같이 실시간 온라인으로 감축량의 검증이 가능한 방법을 사례로 들었다.
이창호 센터장은 “지금의 시행·보급·집행 중심의 수요관리에서 피크부하 삭감이나 에너지 절감량 등 정량적 성과에 따른 수요관리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