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여파가 6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높은 방사능 수치로 인해 속도가 더뎌지고 있다.
특히 방사성 오염물질로 인해 토양과 수질 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일본 문부과학성에 따르면 후쿠시마 제1원전 경계 구역(반경 20km) 내 50개 지점을 조사한 결과, 15개 지역에서 연간 기준으로 100밀리시버트(mSv) 이상의 고농도 방사선량이 측정됐다고 밝혔다. 또 원전에서 3㎞ 떨어진 오쿠마마치 고이리노에선 508.1m㏜가 측정됐다. 이는 일본 정부가 국민의 연간 허용 방사선량으로 정한 20m㏜를 25배 이상 초과한 수치다.
원전 내 방사능 공포는 더욱 심각하다. 도쿄전력은 지난 1일 원전 1, 2호기 건물 옥외 배기관 인근에서 시간당 10시버트(Sv, 1만mSv에 해당) 이상의 방사선량이 측정됐다고 밝혔다. 측정 장치의 한계가 1만mSv인 만큼 실제 수치는 이보다 훨씬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일본 국립환경연구소는 지난달 후쿠시마 1원전이 방출한 방사성물질이 15개 도현으로 확산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3월 11일 이후 바람 방향과 비의 양을 토대로 계산했는데 원전이 방출한 방사성 세슘 중 22%, 방사성 요오드 중 13%가 이 지역으로 퍼졌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사고를 계기로 원전을 대하는 일본 시각도 달라졌다. 사고 직후 일본은 모든 원전에 대해 13개월에 한 번씩 정기점검을 실시하도록 규정했다. 현재 정기검사를 받고 있는 35개 원전과 추가로 검사를 받게 될 5개 원전은 안전검사가 완료되기 전까지 재가동 여부가 불투명하다. 현재 일본 원전 가운데 가동 중인 원전은 15기에 불과하다.
일본 정부의 원전정책도 혼선이다. 대지진 발생 이전에는 2030년까지 전체 전력 53%를 원자력으로 충당한다는 ‘원전 중심’ 에너지 계획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탈 원전’ 정책이 대세를 이뤘다.
하지만 지난 7월 말 일본 정부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장을 고려해 원자력발전소를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방향으로 새로운 원전정책을 마련 중이라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탈 원전’을 포기하는 대신 원전 의존도를 낮추는 쪽으로 에너지 정책을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원전 감축 로드맵’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일본은 향후 3년을 단기, 2020년까지를 중기, 2050년까지를 장기로 각각 구분해 원전 의존도를 줄이고 자연에너지 비중을 높이는 쪽으로 국가 에너지 정책을 수립할 방침이다.
일본 정부는 이번 중간 보고서를 토대로 연말에 기본 방침을 결정할 예정이지만 현실적으로 원자력을 대체할 에너지원이 마땅치 않다는 게 고민거리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