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과제로 125억원을 투입해 실증에 성공한 울돌목 조류발전 사업의 상용화가 표류하고 있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시스템과 터빈·수차 등 핵심 부문에서 국산화 실증에 성공했지만 경제성이 없다는 평가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가중치조차 정해지지 않으면서 누구도 선뜻 상용화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한국해양연구원과 울돌목 조류발전을 공동 연구한 동서발전은 기술인수를 잠정적으로 포기한 상태다.
국내에서 조류발전 사업을 했거나 추진 중인 사업자는 동서발전·현대중공업·레네테크 등이다. 이들은 조류발전이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가중치가 적어도 2.0 이상으로 산정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모으고 있다. RPS 가중치는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 산정 기준으로, 가중치가 높으면 같은 양의 전력이라도 더 많이 생산한 것으로 인정받는다.
하지만 조류발전에 대한 RPS 가중치는 높고 낮음을 떠나서 목록에 존재하지도 않는다. 작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방조제가 없는 조력발전(가중치 2.0)’으로 예비분류를 했지만 지금은 이마저도 없다.
지식경제부는 상용화단지가 없어 경제성 검증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RPS 가중치 선정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우선 조류발전 상용화단지가 들어서고 투자비 대비 전력생산량에 대한 실제 데이터가 나와야 RPS 가중치 산정 작업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조류발전소 건설에 드는 비용은 1㎾당 1000만원 수준이다. 1㎾당 200만원의 투자비가 드는 석탄 화력에 비해 5배가량 비싸다. 조류발전과 관련 2.0 이상의 높은 RPS 가중치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이 때문이다. 사업자 입장에서는 RPS로 인정받지 못해 투자위험도가 높은 조류발전 상용화단지 건설은 부담일 수밖에 없다.
사업자들은 올해 초 국토해양부를 통해 조류발전 상용화를 위해서는 RPS 가중치 확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국토해양부와 RPS 주무부처인 지식경제부와의 조율은 아직 구두협의 수준에 머물러 있어 관련 작업은 더디게 진행될 전망이다.
이광수 한국해양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울돌목 조류발전은 26%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발전효율을 가지고 있지만 경제성이 취약하다”며 “상용화를 위해서는 다른 신재생에너지원 대비 높은 RPS 가중치를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