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종편 · 지상파방송 광고 직접 영업 `안될 말`

황우여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그제 미디어렙(방송광고판매대행사) 관련 방송법 개정안의 “8월 국회 처리가 당의 원칙”이라고 밝혔다. 민주당도 어제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 회의를 열어 관련법을 빨리 처리할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여야가 모처럼 같은 목표를 주시한다. 국회 공전을 틈 타 종합편성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와 일부 지상파 방송사업자는 ‘광고 직접 영업’을 꾀하는 터다.

 여야와 이해에 따라 의견이 분분하나 당분간 ‘미디어렙 수’가 적을수록 옳다. PP협의회는 어제 성명을 내고 “지상파 방송사가 직접 영업에 나서면 (지상파 3사와 계열 PP가 76%를 점유하는) 광고 쏠림현상이 심화할 것”이라며 “미디어렙 수를 최소화하라”고 주장했다.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가 모든 광고를 독점 판매대행하는 체계를 유지하자는 게 아니다.종편PP와 지상파 방송사업자가 대형 광고주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당분간 못하게 하자는 얘기다. 방송의 공적 책임을 높여 시청자 권익을 보호하고 다양한 여론을 형성할 환경부터 먼저 조성하자는 주장이다. 방송사업자에게 공공자산인 전파(주파수)를 대가 없이 쓸 수 있게 한 이유다. 종편PP는 지상파 방송과 역할(종합편성)이 같으니 같은 수준으로 규제해야 마땅하다.

 지역·중소 방송사업자 지원방안도 간과할 수 없다. 지역 주민 가까이에 선 방송사는 여론 다양화와 지방 분권 촉진의 보루다. 경영난에 허덕이는 그들을 약육강식하는 ‘광고 직접 영업의 세계’로 마구 내몰면 곤란하다. 미디어렙으로 하여금 지역·중소 방송사를 위한 광고를 일정 비율로 연계 판매하도록 제도화하는 게 좋겠다. 물론 지역·중소 방송사 자구 노력 유인책도 필요하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