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부진한 제2 원전 수주, 대안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정부의 원전 수출사업이 수면아래에서 좀처럼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집중 공략할 수출 유망국가를 공론화하기도 담스러운 시기여서 연내 제2 원전 수주 소식을 듣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10일 지식경제부와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제2 원전수주 사업이 답보 상태에 빠졌다. 수출하려는 쪽과 수입하려는 쪽 모두가 나서지 않으면서 원전시장 자체가 냉각기에 접어든 것. 그동안 진행되던 사우디아라비아·남아프리카공화국·말레이시아·터키 사업도 소강상태다.

 강경성 지식경제부 원전수출진흥과장은 “후쿠시마 사태 이후로 원전 얘기가 나오지 않고 있으며 명확한 수출사업 타깃도 잡히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일부 언론과 증권가 쪽에서 터키·베트남 수출 유력설을 제기해 왔지만 이에 대해서도 “어느 한 곳도 유력한 곳이 없다”며 소문을 일축했다.

 올 들어 지식경제부는 자원개발원전정책관을 원전산업정책관으로 변경하고 한전은 원전수출본부를 신설하는 등 원전 수출 힘 모으기에 나섰지만 대외여건이 도움을 주지 않는 형국이다.

 중동·동남아를 중심으로 한 제3세계의 원전 기조가 급박하게 변하고 있는 점도 크다. 이들 국가는 전력부족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원전 도입 요구가 높았지만 선거 등 정치적인 문제로 태도가 바뀌고 있다. 올 초 정부가 관심 있게 지켜 본 이집트 원전 프로젝트 역시 시민혁명 이후 군사정권이 들어서면서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지경부와 한전은 추가 수출대상국 물색보다는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전 프로젝트의 성공적 완료와 후쿠시마 사태 대응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제2원전 수주는 원전 도입을 요구하는 국가가 다시 나올 때까지 기다린다는 자세다.

 앞으로 원전 수주 경쟁의 최대 변수는 후쿠시마 원전이 될 전망이다. 지경부와 한전은 원전 수주 경쟁 시 후쿠시마 원전을 비교 잣대로 한 안전성 확보 방안이 핵심 경쟁력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종찬 한전 해외원전개발처장 “우선 후쿠시마 사고 원인이 정확히 나오고 이에 대한 대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속적으로 사태를 주시하고 원전 안전성 측면에서 경쟁국과는 다른 차별성 있는 대안을 찾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