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인터뷰/문영환 전기연구원 스마트그리드센터장

Photo Image
문영환 전기연구원 스마트그리드 센터장

 “맛을 봐야 그 맛을 알 수 있습니다.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2단계 사업은 국민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어 내는 것부터 선행돼야 합니다.”

 문영환 전기연구원 스마트그리드센터장은 실증단지 2단계 사업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주도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센터장은 “사실 스마트그리드에 대해 많은 사람들의 충분한 이해와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스마트그리드에 대해 그동안 장님 코끼리 만지기식으로 일반인은 물론이고 전문 기술인조차도 혼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그리드에 대해 그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와 전기자동차·스마트계량기·에너지저장장치 등과 같은 설비 자체가 스마트그리드 기술인 것처럼 비쳐지고 있지만, 진정한 의미는 새로 등장하는 에너지 설비들과 기존 전력생산과 수송 그리고 소비에 이르는 설비들을 연결해 전체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문 센터장이 말하는 ‘최적화’란 전력망 감시제어 기술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 대처해 정전을 방지하고 전기 공급 손실을 낮추며 소비자의 합리적인 사용을 유도해 수요를 절감하고 궁극적으로는 전기요금을 낮추는 것이다.

 문 센터장은 “실증단지에는 전시용 모델은 있으나 뚜렷한 비즈니스 모델과 시장 전망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며 “이는 산업체나 수용가에서 현실적으로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적용해 얻는 소득 즉, 에너지 절감을 통한 경제적 이득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전기 사용자들이 전기를 절약해 탄소를 저감하고 요금을 낮추는데 적극적인 관심을 나타내지 않고 있고, 전기요금이 통신요금에 비해 큰 부담이 아니어서 이를 줄이려는 동기가 낮다고 설명했다. 지금 스마트그리드 기술의 완성도도 중요하지만 국민적 공감대와 시장 조성을 위해서는 철저한 투자대비 효과 분석과 시장 확대 전략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문 센터장은 “그동안 정부 주도하에 많은 민간사업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제주 실증단지가 구축돼 운영되고 있으나 홍보관이나 데모 설비 등을 일반에게 보여주는 수준이 아니라, 이를 통해 얼마의 이득이 생기는지, 얼마나 탄소가 절감되는지 정량적인 데이터로 인정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문 센터장은 “정부와 사업자들은 시장이 형성되기까지 수요자가 기술을 적용하려는 동기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합리적인 전기요금제도의 정착과 탄소저감 정책의 실행을 위한 규제 강화, 다양한 전력거래제도의 활성화가 빨리 마련돼야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제주=

Photo Image
문영환 전기연구원 스마트그리드 센터장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