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가 기승을 부린 지난 겨울 전열기기로 인한 전기요금 폭탄이 사회적 이슈가 된 바 있다. 난방비가 적게 든다는 광고를 믿고 사용한 전기온풍기가 전기요금을 몇 배로 키운 것. 전기요금 절약을 위해 사용한 전열기기였지만 사용자 대부분이 누진제를 알지 못해 요금폭탄의 피해를 입었다.
전기요금 현실화라는 취지 아래 정부는 올 하반기 전기요금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증권가는 인상폭이 적게는 6%에서 많게는 10%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일반 주택의 한 달 전기요금 평균이 4만6000원 정도임을 감안하면 매달 4000원 안팎의 추가지출이 생기는 셈이다. 하지만 전기요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계획적인 절약을 실천한다면 요금 인상의 여파는 최소화할 수 있다.
현재 주택용 전기요금에는 누진제가 적용되고 있다. 100㎾까지는 기본료 380원에 ㎾h당 56.2원의 요금이, 200㎾까지는 기본료 840원에 ㎾h당 116.1원의 요금이 차등 책정되는 식이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한 달 평균 전기량은 280㎾h에서 320㎾h 사이로 300㎾h를 기준으로 누진제로 인한 요금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280㎾h의 320㎾h의 차이는 40㎾h지만 요금은 각각 3만6850원과 4만8820원으로 1만2000원까지 벌어진다. 200㎾h대 사용 가구는 300㎾h를 넘지 않도록 하고 300㎾h를 초과하는 가구는 절약을 통해 200㎾h대 요금을 적용받아 효율적인 전기소비를 할 수 있다.
누진제를 이용한 효율적인 전기절약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본인이 현재 얼마만큼의 전기를 사용하는지 알아야 한다. 이는 한국전력공사 사이버지점(cyber.kepco.co.kr)에 접속해 고객번호(계량기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쉽게 알 수 있다. 각 요금제 현황과 누진제도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본적인 전기절약 방법을 알아두는 것도 중요하다. 사용하지 않는 가전기기의 플러그를 뽑아 대기전력 소비를 줄이는 것은 기본적인 전기절약법이다. 컴퓨터의 경우 모니터·프린터·스피커 등 주변기기가 많아 반드시 대기전력을 관리해야 하는 필수 품목이다. TV와 냉장고처럼 항시 사용하는 가전기기는 에너지효율등급은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특히 선풍기 10대 이상의 전기를 소비하는 전기온풍기나 전기오븐과 같은 전열기기 사용은 피해야 한다.
산업부분은 고효율기기 사용을 통해 전기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고효율 전동기와 인버터가 대표적이다. 여기에 회사 차원에서 사내 캠페인을 벌이는 등의 노력을 함께해야 한다. 필요할 경우 에너지절감 시스템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에 투자해 전력거래 시장에 참여하는 것도 검토할 수 있다.
동·하계 전력피크 시 전기사용 감축을 통해 인센티브를 받는 제도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지원제도에는 전력거래소의 수요자원시장과 한국전력의 수요조정제도 등이 있다. 수요자원시장은 전력거래소에 회원 등록을 하고 동·하계 시장개설 통보 시 감축 가능량을 인터넷 입찰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수요조정제도는 규모 300㎾ 이상의 사업장이면 어디나 한국전력 각 지점을 방문해 참여할 수 있다.
김동섭 한국전력 수요개발팀장은 “전기요금이 싸다보니 산업과 사회 전반에서 계획 없이 쓰는 것이 습관화되어 있다”며 “전기요금인상 우려도 요금체계에 관심을 갖고 사용습관을 개선하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현재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