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이코노미 생태계 마련한다

Photo Image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국내 주요 SNS 이용자수

 페이스북·트위터 등 주로 개인 소통 도구로 이용됐던 소셜 플랫폼을 산업적으로 적극 육성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일 소셜 플랫폼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소셜 플랫폼 기반의 소통·창의·신뢰 네트워크 사회 구현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예산 수립·실천 방안 등 후속 세부 계획이 나오지 않아 총론 선언 이후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각론 실천 방안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방통위는 올해 상반기까지 행안부·지경부·교육부·복지부 등 유관 부처와 함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세부 실행 전략을 수립하기로 했다.

 황철증 네트워크 국장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SNS는 단순 인맥관리와 홍보용으로 사용하고 역기능도 적지 않았다”며 “소셜화를 플랫폼으로 접근해 생산적으로 활용하고 소셜 기반의 비즈니스 발굴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이를 위해 소셜 커뮤니케이션·소셜 이코노미·소셜 트러스트 3단계로 산업화에 나설 계획이다. 소셜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신소셜 소통 모델’을 만들어 서비스·제조·농수산 등 업종별로 활용 매뉴얼을 제작한다. 산업계에도 이를 전담할 ‘소셜 커뮤니케이션 전략 담당자(소셜-CIO)’도 도입을 유도할 계획이다. 소셜 헬스·재난 대응 등 비즈니스 모델도 개발하기로 했다.

 소셜 이코노미 생태계도 적극 조성한다. 생태계 조성을 위해 벤처 캐피털·컨설팅 회사를 중심으로 ‘소셜 비즈 파트너’를 인증하고 이를 중심으로 소셜 플랫폼 분야 스타트업 기업을 적극 지원한다. 시장 활성화와 이 밖에 산업계 지원을 위해 ‘참여형 소셜 펀드’도 조성할 계획이다.

 

 <뉴스의 눈>

 정부가 소셜 플랫폼 활성화에 두 팔을 걷어 붙인 데는 SNS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가 급성장하고 사회경제 전 분야에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실제로 SNS는 이미 방문자 수· 이용시간 면에서 포털을 일찌감치 추월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이용자 평균 체류 시간이 야후 1시간 50분, 구글 1시간 20분인 데 비해 페이스북은 6시간을 넘어섰다. 이에 따라 쇼핑·게임 등이 SNS와 활발히 결합하면서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SNS가 단순 인맥 관리와 홍보에 치중하고 신상 정보가 무분별하게 공개되면서 부정확한 정보로 프라이버시가 침해당하는 등 역기능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소셜 플랫폼 기반 네트워크 사회 구현은 소비적인 도구를 생산적으로 플랫폼으로 바뀌고 역기능에 대한 체계적으로 대응하자는 목적이 크다.

 이에 따라 두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먼저 ‘인터넷 붐’이 후에 주춤했던 혁신 분위기 조성이다. 국내에서는 2001년 네이버·싸이월드 등장 이후 혁신적인 신규 인터넷 기업이 나오지 못했다. 트위터·페이스북 등 다양한 글로벌 모델이 나왔지만 신규 비즈니스 측면에서도 미국 등 선진국에 크게 뒤처졌다. 이번 정책 수립은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 수립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 하나는 역기능을 최소화하는 발판을 마련할 전망이다. 소셜 네트워크는 정보의 소통이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었지만 무분별하게 신상정보가 공개되면서 폐해도 적지 않았다. 이번에 평판시스템 등 체계적인 대응책이 나오면서 순기능은 강화하고 역기능은 줄이는 효과가 예상된다. 그러나 예산과 세부 실행 계획이 빠져 자칫 시류에 따른 전시행정으로 전락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실제로 산업과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후속 정책이 나올 때 정책적인 실행력이 높아지고 소기의 성과를 거둘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강병준기자 bjkang@etnews.co.kr

Photo Image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