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동반성장지수,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56개 주요 대기업이 올해부터 중소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 추진 노력을 수치로 평가받게 됐다. 동반성장위원회는 기존 공정거래위원회의 ‘동반성장 및 공정거래 협약 이행실적 평가’ 결과에다 중소기업이 대기업을 평가한 결과를 취합해 대기업의 상생 노력을 지수화하는 ‘동반성장지수 추진계획’을 마련했다. 국내 대·중소기업 간 거래 관행을 글로벌 표준 수준으로 끌어 올릴 실효성 있는 평가지침을 만들어가는 첫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그러나 이번 동반성장지수 추진계획에 대해 몇몇 기업은 현실성과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동반성장지수의 권위를 세우고 기업에 자율적인 상생경영 이행을 유도하려면 성적 공개가 불가피하지만, 재계는 평가순위를 공개한다는 방침 자체에 강한 거부감을 표시하고 있다. 평가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범위를 어디까지 정할지, 평가 결과를 어떤 방식으로 서열화할지 등에도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당장 평가를 받아야하는 대기업들의 부담감은 충분히 이해한다. 평가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중소기업 측 주장도 타당한 지적이다. 그러나 모든 일이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는 일이다. 지난 수십년간 이어온 기업 간의 고질적인 거래 관행이 정부 정책 하나로 하루아침에 해결되기를 기대하는 것 자체가 순진한 발상이다.

 대·중소기업 상생은 법과 제도 개선으로 강제하는 것이 아니라, 각 이해관계가 함께 성장해야 한다는 가치관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진행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중소기업 현장의 생생한 애로사항과 글로벌 스탠더드 거래 관행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수렴 과정이 필요하다. 이런 노력을 통해 대기업이 공감하고, 중소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동반성장지수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