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무역규모 1조 달러시대가 본궤도에 오르려면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높은 나라다. 지난 10년간 국내총생산(GDP) 증가에서 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95% 이상이었다. 올해도 이런 현상은 계속될 것이라는 것은 누구나 공감한다. 정부 역시 올해 수출입을 합한 무역 규모가 1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자신하고 있는 만큼 무역 확대와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크다. 지난해 실적이 워낙 좋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에 증가율은 조금 둔화되겠지만 반도체·자동차·IT 등 주력 상품의 수출 호조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무역 1조달러 시대로 가기 위해 신흥시장과 신무역 분야 개척, 중소기업의 해외 마케팅 지원 강화 등 5가지를 방안을 제시했다.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80차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보고된 중점추진과제다. 눈에 띄는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시장 회복이 더딘 선진시장을 탈피, 아세안·중남미 등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수출 확대를 꾀할 예정이다. 이들 지역에 대한 지역특화 전문가를 양성하고 신재생에너지와 로봇·3DTV 등을 신무역 분야로 개척하겠다는 의지다.

 가능성은 충분해 보이지만 낙관은 금물이다. 해외 여건이 결코 녹록지 않은 탓이다. 유럽 국가들의 재정위기가 악화될 가능성이 크고 중국이 금리인상 등 긴축재정의 고삐를 죄고 있는 점도 우리로서는 부담이다. 여기에 환율 하락세가 이어지면 수출기업들의 수익성은 그만큼 악화될 수밖에 없다.

 무역 규모 1조달러 시대를 성공적으로 넘어서기 위해서는 민·관이 긴장을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 원가와 품질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만성적 대일적자 등 고질적 문제점을 우선 개선해야 한다. 특히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함께 수출의 가속페달을 밟을 수 있도록 세제·금융 등 제도적 배려가 있어야 선행돼야 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