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제 전문대학들이 정부의 특성화고 지원 정책에 속앓이를 하고 있다.
정부가 최근 ‘마이스터고·특성화고생을 위한 학업·취업 병행 교육체제 구축 방안’을 통해 고교 졸업생 취업 유도 정책을 대폭 강화하면서 전문대들은 신입생 충원에 또 다른 장애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다.
지난해 전문대학 신입생의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2010년 전국 전문대학 162개교(국·공·서립·기능대학 및 사이버대학 포함) 신입생 23만8058명 중 특성화고 졸업자는 9만2677명으로 약 40%에 이른다. 지방으로 갈수록 비율은 더 높아져 강원도와 광주광역시의 일부 전문대학은 60% 넘는 신입생이 특성화고 졸업자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과학기술부가 현재 25% 수준인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률을 2013년 2월에는 50%까지 높이겠다고 공언하면서 전문대 신입생 모집에 비상이 걸렸다. 취업자 비중이 높아질수록 4년제가 아닌 전문대학 진학생이 우선적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한 사립 전문대학 입학처 관계자는 “특성화고 졸업생의 진학률이 70%가 넘는 지금도 전문대학 신입생 모집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며 “정부의 ‘선취업 후진학’ 정책에도 전문대학과의 연계가 찾아보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정부 지원금도 갈수록 줄고 있다. 특히 새해부터 20개 우수 전문대학을 선정해 육성하는 ‘세계수준전문대학(WCC)’ 사업도 선택과 집중 기조가 강화되는 추세다. 여기에 등록금 동결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대부분 전문대학들의 운영난이 가중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재 전문대학의 재학생 비중은 전체 대학 재학생의 25%를 차지하지만 정부 지원 비중은 15% 이내다. 이런 가운데도 교과부 요청에 따라 전문대교협회장이 총장으로 있는 재능대학을 시작으로 줄줄이 등록금 동결을 선언했다.
한 전문대학 보직교수는 “특성화고를 나오면 우선적으로 취업을 하는게 맞을 수 있지만, 대학 진학과 취업을 ‘양비론’으로 비교하면서 취업을 강조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대학 취업 연계 지원에 대해서도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황태호기자 thhwang@etnews.co.kr
경제 많이 본 뉴스
-
1
日 '암호화폐 보유 불가능' 공식화…韓 '정책 검토' 목소리
-
2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 조기 지정
-
3
최상목 권한대행 부처별 긴급지시…“군, 북한 오판 없게 경계 강화”
-
4
빗썸, 휴면 자산 4435억원 반환 나선다
-
5
'서울대·재무통=행장' 공식 깨졌다···차기 리더 '디지털 전문성' 급부상
-
6
최상목 “韓 권한대행 탄핵소추 국정에 심각한 타격…재고 호소”
-
7
원·달러 환율 1480원 넘어...1500원대 초읽기
-
8
최상목 “국무총리 탄핵소추로 금융·외환시장 불확실성 증가”
-
9
녹색채권 5兆 돌파…“전기차·폐배터리 등 투자”
-
10
인터넷은행, 가계대출 억제 기조에 사업자대출 다각화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