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기업의 애프터서비스(AS)는 세계적으로 정평이 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해 10월부터 ‘이동전화 단말기 AS 가이드라인’의 이행실태를 점검한 결과, 이통 3사 대리점들은 스마트폰은 물론이고 스마트패드까지 AS에 나서는 등 소비자 불편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리점들은 AS를 접수한 단말기를 제조사 AS센터까지 운송하기 위해 사업자별로 배송시스템을 구축, 운영하는 등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점도 드러났다. 대리점 가운데 AS 시 대체해 줄 단말기를 보유한 곳은 6곳에 불과했다. 소비자가 방문해도 예비용 단말기를 보유하지 않아 AS기간에 통신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대리점은 아예 AS를 접수조차 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AS를 접수하면서 비용이나 소요기간을 설명하지 않은 곳은 12.1%, 휴대폰을 팔면서 AS를 설명하지 않은 곳은 29.1%에 달했다.
이 같은 현상은 본사 차원에서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지만, 이를 완벽하게 지키지 못하고 있는 데서 비롯된다. 적극적 AS보다는 소극적인 AS 대응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중소도시, 농어촌으로 가면 AS 불만은 더 심각해진다. AS를 하기 위해 수십킬로미터 떨어진 대도시로 나와야 하며, 품질 낮은 통신 서비스를 받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AS는 대한민국 정보가전산업을 이끌어온 원동력이다. 우리 기업들은 해외에서 빠른 AS체제로 소비자를 사로잡아왔다. AS로 인해 불만이 쌓인 소비자는 해당 서비스나 제품을 선택하지 않고, 눈을 돌리게 된다. 애플의 AS제도가 세계 각국 소비자 원성의 대상이 된 것도 눈여겨봐야 한다.
방통위는 사업자별로 나온 조사 내역을 숨겨서는 안 된다. 조사된 내용 그대로 소비자에게 공개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사업자가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래야 소비자가 믿고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단상]데이터 시대의 전략적 선택, 엣지 AI
-
2
[ET시론] 2025년을 준비하는 로봇 산업
-
3
[ET톡] 경계해야 할 중국 반도체 장비 자립
-
4
[ET대학포럼] 〈202〉저성장 한국 제조업, 홍익인간에서 길을 찾다
-
5
[사설]국회 '반도체 특별법' 논의 속도 내야
-
6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65〉일자리 문제는 시간 싸움
-
7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1〉CES 2025가 보여 줄 'AI 비즈니스 혁신' 3가지
-
8
[GEF 스타트업 이야기] 〈54〉한 없이 절망 했고, 한 없이 기뻤다
-
9
[인사] 신한카드
-
10
[사설] 트럼프 2기 산업 대비책 힘 모아야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