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12/067257_20101207143142_877_0001.jpg)
국내 연구진이 보톡스의 1000분의 1 크기이면서도 효과가 뛰어나며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유사물질을 개발했다.
권대혁 성균관대 교수가 주도하고 신연균 미국 아이오와주립대 교수와 윤태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참여한 공동 연구진은 7일 보톡스를 대체할 저분자 화합불인 미리세틴·델피니딘·시아니딘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보톡스는 미생물인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이 만드는 강력한 신경독이다. 이 독을 약으로 활용한 상품이 우리가 흔히 접하는 보톡스로, 미용 뿐 아니라 눈 주변의 근육 경련 및 목 근육 장애 등의 치료제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오용 시에는 생명을 위협할 만큼 위험하며, 크기가 커서 정신질환 치료제 등으로는 쓰이지 못했다.
연구진은 식용으로도 안전한 녹차 등의 식물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폴리페놀 성분에서 저분자 화합물을 추출했다. 보톡스와 유사한 기능을 하면서도 안전하고, 크기가 작아 정신질환 치료제로도 쓰일 수 있다.
권대혁 교수는 “2, 3년 내에는 보톡스를 대체하는 안전한 주름제거용 화장품이나 다한증 치료제 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간질 등 정신질환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 속보에 게재됐다.
황태호기자 thhwang@etnews.co.kr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12/067257_20101207143142_877_0002.jpg)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12/067257_20101207143142_877_00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