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성보다 인내심이 더 힘이 좋단다. 남보다 뛰어난 천재성이 없어도 남보다 오래 버티는 지구력이 있으면 성공할 수 있단다. 하지만 나는 이도 저도 안된다. 혀를 깨물며 1년 동안 끊었던 담배를 단 1분 만에 다시 피우고, 눈을 질끈 감고 3개월 동안 뺐던 몸무게를 단 3일만에 원상 복구했다. 나에게 좋은 습관은 전면 통제되고 나쁜 습관은 무사통과되나 보다. 가망 없는 인내심에 의지하기보다 포기했던 천재성을 찾아보는 게 더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싶다.
손가락 지문도 많이 쓰면 없어지고 손바닥 굳은 살도 안 쓰면 없어진다. 문제는 누가 끝까지 지속하느냐의 문제이다. 참을성은 `비결`이나 `왕도`를 찾아 헤매지 않고 묵묵히, 꾸준히, 열심히 가던 길을 가는 것이다. 인내심은 잘 참는 것이 아니라 실패해도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실패로 가는 가장 확실한 길은 중도에 포기하는 것이고, 성공으로 가는 가장 확실한 길은 성공할 때까지 넘어져도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가장 한심하고 원론적인 대답이지만 또 가장 적절하고도 부정할 수 없는 대답이다. 브라이언 트레이시는 `인생은 복리`라고 말했다.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매일 0.1%씩 향상시킬 경우 첫 한 주 동안 0.5% 나아진다. 매주 0.5%가 4주 동안 축적되면 한달에 2%가 향상되고 이는 1년 만에 26%의 향상을 이룬다. 매년 26%씩 10년 동안 복리로 계산하면 처음 시작에 비해서 무려 1008%라는 엄청난 결과를 만든다. 조금씩 쌓여가고 있는 거다. 오늘 멈추었어도 오늘부터 다시 시작이다. 펀치를 이기는 내성이 있어야 권투선수가 되듯 실패에도 포기하지 않는 내성이 있어야 내 안의 천재성을 발견한다. 타고날 때부터 부유하고 똑똑하고 빠르고 말 잘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살면서 넘어질 때마다 일어나 다시 시작하는 사람이 결과적으로 천재 소리를 듣는다. 천재성을 찾기 위해서라도 다시 시작하자.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단상]물리적 AI가 자율제조공장 실현한다
-
2
[데스크라인]자율주행, 시범사업만 해서야
-
3
[기고] 데이터 중심 시대, 이제는 분석 시스템도 오픈소스로 전환을 고려해야 할 때다
-
4
[ET단상] 버티컬 AI와 SaaS 결합, 한국 소프트웨어 시장 바꾼다
-
5
롯데이노베이트, 어린이날 맞이 '나만의 인형 만들기' 행사로 환아에게 선물 전달
-
6
[ET대학포럼] 〈219〉혁신기반 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재구상
-
7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74〉인공지능 테크노스트레스
-
8
[기고]산불 꺼진 경북, 꺼지지 않은 카메라
-
9
[임성은의 정책과 혁신] 〈15〉세종시로 갔지만, 지방은 살아나지 않았다
-
10
[ET시론] GVC 전략 재편과 새로운 가치사슬 구축, 첨단기술 확보의 출발점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