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프만에서 블랙베리 `수난`

Photo Image
1일(현지시각) 두바이 한 쇼핑몰에 전시된 `블랙베리` 판촉물 옆을 한 가족이 지나가고 있다.<두바이(UAE)=로이터연합뉴스>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국가들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스마트폰 `블랙베리` 이용을 금지할 전망이다. 중국 등이 구글, 유튜브, 트위터 같은 서비스 이용을 차단한 적은 있지만 정부가 특정 기기 사용을 막으려는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다.

모하메드 알 가넴 UAE 통신감독청(TRA) 청장이 “블랙베리 이용자들이 주고받는 정보가 제조사에 저장돼 국가 안보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어 오는 10월 11일부터 블랙베리 서비스를 중단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AP, 워싱턴포스트 등이 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UAE 정부는 블랙베리의 메신저 및 이메일,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모두 금지한다는 방침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도 이달 말 블랙베리 메신저 이용을 차단할 것으로 알려졌다. UAE와 사우디아라비아의 블랙베리 사용자는 각각 50만명과 70만명으로 추산된다.

중동 국가 외에 인도 정부도 최근 블랙베리 제조사 리서치인모션(RIM)에 블랙베리를 통해 전송되는 암호화한 이메일과 콘텐츠를 해독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놓으라고 촉구하며 사용을 금지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블랙베리 금지 조치에 대해 각국은 테러 등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고 기업 기밀이 바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애널리스트들과 시민단체에서는 이런 시도가 보수적인 국가에서 정보 흐름에 대해 더욱 엄격하게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보았다.


블랙베리의 경우 송신자 메시지가 RIM의 네트워크를 통과하며 암호화돼 수신자에게 도착한다. 1년여 전 UAE에 블랙베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에티살라트가 정보를 해킹하는 스파이웨어를 업그레이드 소프트웨어라고 속여 배포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정부가 검열이 어려워지자 사용 자체를 금지하는 방법을 택했다는 것이다.

이런 조치가 블랙베리뿐 아니라 다른 기기로 확산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를 테면 애플 아이폰을 통해 급진적인 정보가 유통된다면 아이폰을 금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황지혜기자 gotit@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