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공동 DDoS 대응센터 연내 개설 불투명

금융권 공동 DDoS 대응센터의 연내 개설이 불투명해졌다.

7월말 현재까지 금융결제원은 금융권 공동 DDoS 대응센터 개설 여부를 승인받을 원내 총회를 소집하지 못해 이사회 승인 미결 상태다. 따라서 총회를 통한 최종 결정이 늦어지는 만큼 빠른 처리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금융결제원 관계자는 “기술적인 검토사항들이 완료되지 않아 이사회의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하지만 연내 금융권 공동 DDoS 대응센터를 개소한다는 원칙은 변함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금융결제원의 연내 개소 의지에도 불구하고 관련 업계는 7월말 현재까지 이사회 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연내 금융권 공동 DDoS 대응센터를 준비하기에는 시일이 촉박하다는 의견이다. 설혹 개소된다해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만큼의 수준에 도달할지 실효성이 의심된다는 목소리도 조심스레 새어나오고 있다.

특히 관련업계는 금융권 공동 DDoS 대응센터의 개소가 당초 예정보다 늦어지고 있는 속내는 기술적인 검토사항이 문제가 아니라 금결원, 통신사, 은행, 증권 등 금융권의 입장이 서로 달라 합의점을 찾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금융권 공동 DDoS 대응센터 개설을 위해 컨설팅을 담당한 통신사업자, DDoS 대응장비 업체 등 관계자들에 의하면 기술적인 조치사항에 대한 검토는 완료됐지만 막대한 시설투자 및 운영비용을 누가 감당할 것인가를 놓고 서로 미루고 있는 것이 센터 개설이 늦어지는 근본원인이라고 말했다.

한 DDoS 대응 장비 업체의 관계자는 “KT, LG, SK 3개 통신사망을 연동하는 시설투자비, 관제센터를 개설해 좀비 PC상황을 관제하고 분석하는 등 지속적으로 들어갈 운영비까지 만만치 않다”며 “금결원, 금융권, 통신사가 비용부담을 서로 떠넘기고 있어 전혀 진척이 없다”고 말했다.

금결원은 통신사업자측에 DDoS 방어는 범국가적인 사업이니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DDoS 공격 대응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3개 통신사업자쪽도 부담스럽다는 반응이다. 통신업계측은 영세한 중소기업도 아닌 가장 부유한 금융권을 위해 무료봉사를 해줘야할 이유가 없다며 금결원의 요청을 고사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먼저 발벗고 나서야할 대상은 은행, 증권 등 금융권 당사자라는 지적이다. 지난 7.7 DDoS 공격의 주요 타깃중의 하나가 금융권이었고 DDoS 서비스를 받을 대상자가 금융권인만큼 금융권에서 주도적으로 나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DDoS 공격 대응을 위해서는 반드시 우회로가 필요한데 현재 국내 금융권은 자기 대문만 닫아걸었으니 DDoS 공격을 막는데 책임을 다했다고 말하는 격”이라며 “국민의 소중한 자산인 현금을 맡아 운영하는 은행, 증권 등이야말로 가장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공동의 노력을 통해 사고를 막겠다는 의식의 전한이 시급하다”라며 금융권의 변화를 촉구했다

장윤정기자 linda@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