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신(新) 정보화 격차는 갈수록 벌어질 것입니다. 그만큼 중소기업은 경쟁에 뒤처질 수밖에 없지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 고도화 전략을 마련 중입니다.”
박창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55)은 1일 최근 스마트폰, 클라우드 컴퓨팅 등 첨단기술 등장으로 빚어지는 신 정보화 격차에 대해 “대기업은 비행기를 타고 날아가는데, 중소기업은 버스를 타고 가는 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신 정보화가 아직 초창기인데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도입률이 대기업보다 최고 10배나 낮아 정부의 대책이 시급하다”며 “내년 정보화사업에 모바일 구축 지원, 정보보호 지원 등 신 정보화 사업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내달까지 사업 고도화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원장은 행정고시 22회로 공직에 입문한 이후 대부분 중소기업청에서 보냈다. 중소기업 창업지원과장, 인천중소기업청장,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정책총괄팀장 등을 역임하며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실천한 중소기업 전문가다.
최근에는 중소기업청과 경찰청의 중소기업 기술유출 예방 협약(MOU) 교환의 산파 역할도 했다.
박 원장은 “그동안 경찰청과 협력하면서 보안진단, 법률상담 등 컨설팅에 주력했던 기술보호상담센터에 신고와 수사까지 일괄 처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며 “MOU 교환 이후 더 많은 중소기업이 관심을 갖고 센터를 찾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앞으로 중소기업의 첨단 기술유출은 국부유출과 직결되는 만큼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우선 기술유출방지 및 보호를 위해 중소기술혁신촉진법을 개정 중”이라며 “그나마 보안체계가 잘 갖춰진 대기업과 별도로 중소기업에 초점을 둔 정보보호체계 마련을 위해 해외 선진사례와 관련법을 철저하게 분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진흥원은 현재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 이외에도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지원, 1인 창조기업 지원, 인력양성 등 주요 사업이 30여 가지에 이른다. 마이스터고 등 전문계 고등학교 지원사업도 진흥원이 맡고 있다.
지난 2007년 박 원장이 취임할 당시 900억원대의 진흥원 사업비는 올해 2000억여원으로 배 이상 늘어났다. 그래서 박 원장은 일복을 타고 났다는 우스갯소리도 듣는다. 박 원장은 요즘 내년도 예산 확보에 중기청과 협력해 한바탕 전쟁을 치르고 있다.
그는 “중소기업 신 정보화 지원 사업의 관건은 결국 예산”이라며 “그동안 국정현안에 밀려 중소기업 정보화사업의 중요성이 과소평가 받아 몇 년째 삭감됐지만, 올해는 물러설 수 없다는 각오로 뛰고 있다”며 굳은 의지를 나타냈다.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kr